취영학교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200407
한자 聚英學校
분야 역사/근현대,문화·교육/교육
유형 기관 단체/학교
지역 충청남도 금산군 진산면 교촌리
시대 근대/개항기
집필자 박범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개교 시기/일시 1908년연표보기 - 취영학교 개교
이전 시기/일시 1911년 - 취영학교 충청남도 금산군 진산면 교촌리에서 충청남도 금산군 진산면 읍내리로 이전
개칭 시기/일시 1911년연표보기 - 취영학교에서 사립진산학교로 개칭
최초 설립지 취영학교 - 충청남도 금산군 진산면 교촌리 지도보기
주소 변경 이력 사립진산학교 - 충청남도 금산군 진산면 읍내리 지도보기
성격 근대 사립 학교
설립자 조병순|송종선|조병란

[정의]

개항기 충청남도 금산군 진산면 교촌리에 있었던 사립 학교.

[변천]

취영학교(聚英學校)는 1908년(순종 2)에 개교하였다. 『대한매일신보』에 따르면 ‘취영학교진산군의 신사(紳士)였던 조병순(趙炳淳)과 송종선(宋鍾善), 조병란(趙炳蘭) 등의 인사들이 의연금을 모아 진산향교(珍山鄕校) 명륜당에서 설립한 학교’라고 한다. 교장이면서 설립 당시 의연금을 낸 조병순은 1888년(고종 25)에 진사가 된 인물로 중봉 조헌(趙憲)의 10대손이었다. 이외에도 찬성원(贊成員)으로 참여한 인물이 보이는데, 정이권(鄭以權)은 진산군에서 면장을 하던 인물이었고, 양지환(楊之煥)은 진산군 공전영수원으로서 당시 지역 내 유지들 다수가 취영학교 설립과 운영에 참여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설립 당시 취영학교의 학생은 대략 50여 명이었다. 1911년에 현재의 충청남도 금산군 진산면 읍내리로 교사를 이전하여 사립진산학교라고 불렀고, 1912년에는 진산공립보통학교가 되었다.

[교육 활동]

『대한매일신보』를 보면, 진산군주사(主事)였던 류석희(柳錫희)가 교육에 열심이어서 경내 인사들을 권면하고, 취영학교의 교사였던 김용태(金容兌)와 교장 조병순, 교감 김동희(金東熈), 학감 류성준(柳成準) 등이 매우 열심으로 교육하였다고 한다. 1909년(순종 3) 6월 취영학교 내에 측량야학과를 운영하여 제1회 졸업 시험을 치렀으며, 최우등생은 5명, 우등생은 8명, 졸업생은 12명이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