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9200554 |
---|---|
한자 | 珍山鄕校 |
분야 | 종교/유교,문화유산/유형 유산 |
유형 | 유적/건물 |
지역 | 충청남도 금산군 진산면 교촌1길 45-20[교촌리 355] |
시대 | 조선/조선 전기 |
집필자 | 최영숙 |
건립 시기/일시 | 1398년![]() |
---|---|
이전 시기/일시 | 1755년 - 진산향교 충청남도 금산군 진산면 읍내리 606에서 충청남도 금산군 진산면 교촌리 355로 이건 |
개축|증축 시기/일시 | 1781년 - 진산향교 개축 |
훼철|철거 시기/일시 | 1951년 - 진산향교 동무·서무 훼손 |
개축|증축 시기/일시 | 1953년 - 진산향교 명륜당 보수[1953] |
개축|증축 시기/일시 | 1957년 - 진산향교 대성전 보수 |
개축|증축 시기/일시 | 1968년 - 진산향교 전교실 신축 |
개축|증축 시기/일시 | 1982년 - 진산향교 대성전 중수 |
개축|증축 시기/일시 | 1982년 - 진산향교 명륜당 보수[1982] |
개축|증축 시기/일시 | 1982년 - 진산향교 내삼문 보수 |
문화재 지정 일시 | 1997년 12월 23일![]() |
관련 사항 시기/일시 | 2021년 11월 19일 - 진산향교 문화재청고시 제2021-141호에 따라 지정 번호 삭제 |
현 소재지 | 진산향교 -
충청남도 금산군 진산면 교촌1길 45-20[교촌리 355]![]() |
원소재지 | 진산향교 -
충청남도 금산군 진산면 대둔산로 413[읍내리 606]![]() |
성격 | 향교 |
양식 | 겹처마 맞배지붕[대성전·명륜당·내삼문·평상문]|홑처마 맞배지붕[전교실] |
[정의]
충청남도 금산군 진산면 교촌리에 있는 조선 전기 지방 관학 기관.
[개설]
진산향교(珍山鄕校)는 조선 초 유교 이념을 보급하고 지방민들을 교화하기 위해 만든 관학 교육 기관이다. 조선 시대에 국가로부터 토지와 전적·노비 등을 지급받아 교관 1명이 정원 30명의 교생을 가르쳤으나, 조선 후기를 지나면서 교육 기능이 쇠퇴하고 선현에 대한 제향으로서 교화 기능을 주로 담당하였다. 조선 시대의 ‘일읍 일교(一邑 一校)’ 원칙에 따라 진산군(珍山郡)에 건립되었으나, 진산군이 금산군에 편입되면서 금산향교(錦山鄕校)와 더불어 금산군 지역의 향교로 남게 되었다. 진산 지역은 1393년(태조 2)에 진주군으로 승격되었고, 1412년(태종 12)에 ‘진산’으로 고쳐 진산군이 되었으며, 1914년 지방 행정 구획 개편에 따라 금산군에 병합되었다.
[위치]
진산향교는 금산군 진산면 교촌리 355번지에 있다. 금산군 진산면 소재지에서 대둔산로를 따라 대전광역시 방향으로 1㎞ 정도 진행하다 좌측 마을 길로 들어서서 가다 보면 교촌2리마을회관이 보인다. 교촌2리마을회관을 지나 좁은 마을 골목으로 100여m 더 가면 높은 경사지에 진산향교가 자리한다.
[변천]
진산향교에 소장되어 있는 『진산유림록(珍山儒林錄)』에 연혁이 간략하게 서술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진산향교의 건립은 확실하지 않지만 1397년(태조 6)에 성균관(成均館)을 세우고, 1398년(태조 7)에 문묘를 건립할 때쯤 지금의 금산군 진산면 읍내리 606번지[현 진산중학교 부지]에 창건하였다. 임진왜란(壬辰倭亂)과 병자호란(丙子胡亂)을 겪은 후 몇 차례의 중보수를 하였으며, 1755년(영조 31년)에 현재의 위치로 옮겨 지었다. 이후 1781년(정조 5)에 다시 고쳐 지었다. 1951년 6·25전쟁 중 동무(東廡)와 서무(西廡)가 훼손되어 지금까지 복원을 못하였고, 동재(東齋)와 서재(西齋), 양사재, 전사고도 철폐되어 현재는 없는 상태이다. 다만 1953년에 명륜당(明倫堂)을 보수하였고, 1957년에는 대성전(大成殿)을 보수하였으며, 1968년에 전교실을 신축하였다. 이후 1982년에 대성전을 중수하였고, 명륜당과 내삼문을 보수하였다.
[형태]
정면에 명륜당을 두고 뒷면에 대성전을 두는 전학후묘식(前學後廟式)으로 배치되어 있다. 대성전과 명륜당, 내삼문과 평상문은 모두 겹처마 맞배지붕으로 되어 있고, 전교실은 홑처마 맞배지붕으로 되어 있다. 동무와 서무는 없고 명륜당과 내삼문, 대성전이 있다. 대성전에 오성(五聖)[공자·안자·증자·자사·맹자]과 송조 이현(宋朝 二賢)[정자·주자], 동방 십팔현(東邦 十八賢)[설총(薛聰)·안유(安裕)·김굉필(金宏弼)·조광조(趙光祖)·이황(李滉)·이이(李珥)·김장생(金長生)·김집(金集)·송준길(宋浚吉)·최치원(崔致遠)·정몽주(鄭夢周)·정여창(鄭汝昌)·이언적(李彥迪)·김인후(金麟厚)·성혼(成渾)·조헌(趙憲)·송시열(宋時烈)·박세채(朴世采)]의 위패를 함께 봉안하였다.
[현황]
진산향교는 1997년 12월 23일에 충청남도 기념물 제122호로 지정되었다. 이후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청고시 제2021-141호 「문화재 지정[등록]번호 삭제 및 문화재명 표기 방식 변경 고시」에 따라 지정 번호가 삭제되었다. 운영은 전교 1명과 장의 몇 명이 담당하고 있다. 매년 양력 5월 11일에 춘계 석전제를, 9월 28일에 추계 석전제를 지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