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200980
한자 敎育
영어공식명칭 Education
분야 문화·교육/교육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개관)
지역 충청남도 금산군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이명진

[정의]

충청남도 금산군에 있는 초등학교·중학교·고등학교와 비인가 대안 학교 및 대학교 교육의 내용과 현황.

[초등학교]

초등학교는 만 6세~만 11세 아동들을 대상으로 국민 생활에 필요한 기초적인 초등 보통 교육을 실시할 목적으로 설치되었다. 취학 연령은 5세~6세, 교육 기간 6년의 의무 교육 기관이다. 조선 시대의 서당을 기원으로 하여 갑오개혁(甲午改革) 이후 근대적 교육 제도를 도입하면서 생긴 소학교에서 시작되었다. 1906년(고종 43) 8월 27일에 4년제 보통학교로 명칭이 바뀌었고, 1926년 7월 1일에 다시 6년의 심상소학교로 명칭이 바뀌었다. 1941년 3월 31일 국민학교로 명칭이 다시 변경되었으며, 1996년 3월 1일에 초등학교로 개칭하였다. 초등학교 교육 과정은 1년 2학기제로 34주 190일 이상의 수업 일수로 편제되어 있고, 보통 1시간 수업은 40분이며 3월 2일부터 시작한다. 교육 과정은 교과[군]와 창의적 체험 활동으로 편성한다. 교과[군]는 국어, 사회·도덕, 수학, 과학·실과, 체육, 예술[음악·미술], 영어로 한다. 다만, 초등학교 1학년·2학년의 교과는 국어, 수학, 바른 생활, 슬기로운 생활, 즐거운 생활, 안전 생활로 한다. 창의적 체험 활동은 자율 특색 활동과 동아리 활동, 봉사 활동, 진로 활동으로 한다.

금산군 내의 초등학교 현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2023년 기준 금산군의 초등학교는 16개 학교에 148학급이 설치되어 있다. 분교장 1개 학교는 포함하지 않았으며, 특수 학급 17학급은 포함하였다. 총 1,707명의 학생이 재학하고 있으며, 교원 223명과 일반직 37명, 교육 공무직 147명이 근무하고 있다. 금산군 금산읍금산중앙초등학교금산초등학교, 금산동초등학교가 있으며, 금성면에는 금성초등학교금성초등학교 금계분교장이 있다. 금산군 제원면에는 제원초등학교가, 부리면에는 부리초등학교가, 군북면에는 군북초등학교용문초등학교, 상곡초등학교가 있다. 금산군 남일면에는 남일초등학교가 있고, 남이면에는 남이초등학교, 진산면에는 진산초등학교가 있다. 금산군 복수면에는 복수초등학교신대초등학교가 있으며, 추부면추부초등학교성대초등학교가 있다.

[중학교]

중학교는 초등학교 졸업 후 진학하는 3년제 중등 교육 기관으로, 의무 교육 과정이다. 「초·중등교육법」 제41조[목적]에 의하면, 초등학교에서 받은 교육의 기초 위에 중등 교육을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교육 기관이다. 중학교 교육 과정은 교과[군]와 창의적 체험 활동으로 편성한다. 교과[군]는 국어, 사회[역사 포함]·도덕, 수학, 과학·기술 가정·정보, 체육, 예술[음악·미술], 영어, 선택 교과로 구분하며, 선택 교과는 한문, 환경, 생활 외국어, 보건, 진로와 직업 등의 과목으로 이루어져 있다. 창의적 체험 활동은 자율 활동과 동아리 활동, 봉사 활동, 진로 활동으로 구분한다. 학년군 및 교과[군]별 시간 배당은 연간 34주가 기준이며, 3년간의 기준 수업 시수를 살펴보면 교과군 소계 3,060시간, 창의적 체험 활동 306시간을 포함하여 총 3,366시간이다. 특히 과학·기술 가정·정보 교과[군]에서 정보 과목은 34시간을 기준으로 편성 운영하며, 한 학기는 자유 학기로 운영하여 지역 사회와 연계한 다양한 체험 중심 활동으로 진행한다. 또한 학교 스포츠 클럽 활동도 학년별로 연간 34시간~68시간[총 136시간] 운영하며, 매 학기에 편성하도록 하고 있다.

금산군 내의 중학교 현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2023년 기준 금산군 지역의 중학교는 8개 학교에 일반 학급 57학급, 특수 학급 8학급으로 총 65학급이 운영되고 있다. 총 1,096명의 학생이 재학하고 있으며, 교원 139명과 일반직 19명, 교육 공무직 51명이 근무하고 있다. 금산군 금산읍금산중학교금산동중학교, 금산여자중학교가 있으며, 복수면복수중학교가, 부리면부리중학교가, 제원면제원중학교가, 추부면추부중학교가 있다.

[고등학교]

고등학교는 「초·중등교육법」 제45조[목적]에 의하면, 중학교에서 받은 교육의 기초 위에 중등 교육 및 기초적인 전문 교육을 목적으로 하는 교육 기관으로 정의할 수 있다. 「초·중등교육법」 제48조[학과 등]에 따라 고등학교는 학과를 둘 수 있다. 「초·중등교육법 시행령」 제76조의 3항에 따르면, 고등학교는 교육 과정 운영과 학교의 자율성을 기준으로 일반계 고등학교와 특수 목적 고등학교, 특성화 고등학교, 그리고 자율형 공립 고등학교 및 자율형 사립 고등학교로 구분되어 있다. 일반계 고등학교는 줄여서 ‘일반고’라고 부르며, 특정 분야가 아닌 다양한 분야에 걸쳐 일반적인 교육을 실시하는 고등학교를 말한다. 특수 목적 고등학교는 줄여서 ‘특목고’라고 부르며, 과학 고등학교와 외국어 고등학교, 예술 고등학교, 체육 고등학교, 그리고 산업 수요 맞춤형 고등학교[마이스터고] 등 특정 분야에 특화된 인재를 양성한다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특히, 특성화 고등학교는 「초·중등교육법 시행령」 제91조에 ‘특정 분야의 인재 양성을 목적으로 하는 교육 또는 자연 현장 실습 등 체험 위주의 교육을 전문적으로 실시하는 고등학교’라고 정의되어 있다. 특성화 고등학교 계열은 공업 계열과 농생명 산업 계열, 상업 정보 계열, 수산 해운 계열, 가사 실업 계열, 예술 계열[애니메이션 특성화]로 세분화되어 있다. 자율형 공립 고등학교와 자율형 사립 고등학교는 '자공고', '자사고'로 줄여서 부르며, 학교 또는 교육 과정을 자율적으로 운영하는 고등학교를 의미한다.

금산군 내 고등학교 현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2023년 기준 4개 학교에 54학급이 편성되어 있다. 총 971명의 학생이 재학하고 있으며, 교원 129명과 일반직 15명, 교육 공무직 50명이 근무하고 있다. 금산군 금산읍금산산업고등학교금산고등학교, 금산여자고등학교가 있고, 진산면금산하이텍고등학교가 있다. 금산고등학교금산여자고등학교는 일반계 고등학교이고, 금산산업고등학교금산하이텍고등학교는 특성화 고등학교로 분류된다. 특히 금산산업고등학교는 공업 계열과 농생명 산업 계열, 상업 정보 계열의 3개 계열 학과로 구성되어 있으며, 금산하이텍고등학교는 공업 계열 학과로만 구성되어 있다.

[대안 학교]

대안 학교는 「초·중등교육법」 제60조의 3항[대안 학교]에 의하면, 학업을 중단하거나 개인적 특성에 맞는 교육을 받으려는 학생을 대상으로 현장 실습 등 체험 위주의 교육, 인성 위주의 교육 또는 개인의 소질과 적성 개발 위주의 다양한 교육을 하는 학교이다. 또한 대안 학교의 설립 운영에 관한 규정 제6조[학력 인정]에 따르면, 국공립 대안 학교를 졸업한 자와 제4조에 따라 설립 인가를 받은 대안 학교를 졸업한 자는 국공립 대안 학교의 설립 시 계획된 학교 급별 또는 사립 대안 학교의 설립 인가 시 표시된 인정 학력에 따라 법 제2조의 초등학교, 중학교 또는 고등학교 졸업 학력이 있는 것으로 본다고 규정하고 있다.

금산군 내 대안 학교 현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2023년 기준 자유 학교형인 금산간디학교의 중학 과정[금산간디중학교]과 고등 과정[금산간디고등학교], 기독교 계열 종교형인 별무리학교사사학교 등 비인가 대안 학교 3개 학교가 있다.

[대학교]

금산군 내 대학교로는 중부대학교가 유일하다. 「고등교육법」 제28조[목적]에 의하면, 대학은 인격을 도야하고, 국가와 인류 사회의 발전에 필요한 심오한 학술 이론과 그 응용 방법을 가르치고 연구하며, 국가와 인류 사회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하는 학교이다. 중부대학교의 연혁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983년 3월 4일 학교법인 중부학원의 설립 인가를 받은 후, 1984년 2월 29일에 중부신학교를 인가받았다. 같은 해 12월 17일 중부사회산업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으며, 1992년 12월 23일에 중부대학의 설립 인가를 받았다. 1993년 2월 28일에 중부사회산업학교는 폐교하고, 그해 3월 1일에 중부대학을 개교하였으며, 1995년 3월 1일에 중부대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1996년 11월 2일에 중부대학교 인문사회과학대학원과 중부대학교 산업과학대학원의 설립 인가를 받았으며, 2000년 10월 25일에는 중부대학교 교육대학원을 신설하여 설립 인가를 받았다. 2001년 7월 26일에는 일반 대학원 및 원격 대학원 신설 인가를 받았고, 2004년 2월 19일에 중부대학교 산학협력관을 개관하였다. 2007년 12월 24일에 중부대학교 공학교육혁신센터를 설치하였으며, 2008년에는 충남향토자원지원센터를 준공하였다. 이후 2015년 3월 1일에 중부대학교 이노미디어(Inno-Media)캠퍼스를 개교하였다.

2023년 기준 충청남도 금산군에 중부대학교 국제캠퍼스[충청]가 있다. 중부대학교 국제캠퍼스에는 경찰경호학부와 항공관광학부, 사범학부, 보건복지학부, 공연예술학부, 문화콘텐츠학부, 건축토목공학부, 반려동물학부, 바이오융합학부, 글로벌인재학부가 있다. 경찰경호학부에는 경찰 행정학 전공과 경찰 법학 전공, 경찰 경호학 전공, 경찰 탐정 수사학 전공이 있다. 항공관광학부에는 항공 서비스학 전공과 항공 관광&카지노학 전공, 호텔 외식 산업학 전공, 식품 영양학 전공, 호텔 비지니스 전공, 항공 경영 물류학 전공이 있다. 보건복지학부에는 보건행정학과와 간호학과, 물리치료학과, 한방보건제약학과, 사회 복지학 전공, 아동 보육 전공, 바이오 식품학 전공, 바이오 화장품학 전공이 있다. 공연예술학부에는 뷰티 케어학 전공과 레저 스포츠학 전공, 골프학 전공, 스포츠 건강 관리학 전공이 있다. 반려동물학부에는 동물 사육학 전공과 동물 행동 복지학 전공, 동물보건학과가 있다. 글로벌인재학부에는 자율 설계 전공, 글로벌 K-POP 전공이 있다. 이외에 사범학부에는 특수체육교육과가 있고, 건축토목공학부에는 환경 조경학 전공이, 문화콘텐츠학부에는 문헌 정보학 전공이 있으며, 바이오융합학부에는 헬스케어 제약 공학 전공이 있다. 중부대학교 국제캠퍼스는 일본과 중국, 인도네시아, 러시아 등의 세계 여러 대학에 교환 학생을 파견하여 복수 학위 및 학점 인정 과정, 국제 인턴십 과정을 운영하는 등 국제화 교육을 실천하고 있다.

[참고문헌]
  • 교육부(http://www.moe.go.kr)
  • 금산간디학교(http://www.gandhifree.net)
  • 별무리학교(http://www.bmrschool.net)
  • 사사학교(https://sasasc.net)
  • 중부대학교(https://www.joongbu.ac.kr)
  • 충청남도금산교육지원청(https://www.cngse.go.kr)
  • 학교알리미(https://www.schoolinfo.go.kr)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