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9201022 |
---|---|
한자 | 高等學校 |
영어공식명칭 | High School |
분야 | 문화·교육/교육 |
유형 |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
지역 | 충청남도 금산군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이명진 |
[정의]
충청남도 금산군에 있는 중학교와 대학교 사이의 중등 보통 교육 기관.
[개설]
「초·중등교육법」 제45조[목적]에 의하면, 고등학교는 중학교에서 받은 교육의 기초 위에 중등 교육 및 기초적인 전문 교육을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교육 기관으로 정의할 수 있다. 「초·중등교육법」 제48조[학과 등]에 의하면 고등학교는 학과를 둘 수 있다고 규정하고 있다. 「초·중등교육법 시행령」 제76조 3항에 의하면 고등학교는 교육 과정 운영과 학교의 자율성을 기준으로 일반계 고등학교와 특수 목적 고등학교, 특성화 고등학교, 자율형 공립 고등학교 및 자율형 사립 고등학교로 구분되어 있다.
일반계 고등학교는 줄여서 일반고라고 부르며, 특정 분야가 아닌 다양한 분야에 걸쳐 일반적인 교육을 실시한다. 특수 목적 고등학교는 줄여서 특목고라고 부르며, 과학 고등학교와 외국어 고등학교, 예술 고등학교, 체육 고등학교, 그리고 산업 수요 맞춤형 고등학교[마이스터고] 등 특정 분야에 특화된 인재를 양성한다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특히 특성화 고등학교는 「초·중등교육법 시행령」 제91조에 의하면, 특정 분야의 인재 양성을 목적으로 하는 교육 또는 자연 현장 실습 등 체험 위주의 교육을 전문적으로 실시하는 고등학교라고 정의되어 있다. 특성화 고등학교의 계열은 공업 계열과 농생명 산업 계열, 상업 정보 계열, 수산 해운 계열, 가사 실업 계열, 예술 계열[애니메이션 특성화]로 세분화되어 있다. 자율형 공립 고등학교와 자율형 사립 고등학교는 자공고, 자사고로 줄여서 부르며 학교 또는 교육 과정을 자율적으로 운영하는 고등학교를 의미한다.
[변천]
충청남도 금산군에 있는 고등학교의 변천을 간략히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8·15광복 초기의 중등 교육 기관으로는 금산농업학교[현 금산산업고등학교]와 금산고등공민학교, 금산여자중학원[현 금산여자고등학교], 제원중학원이 있었다. 제원중학원은 6·25전쟁 당시 폐교되었다. 6·25전쟁 이후의 중등 교육 기관으로 금산농업고등학교가 금산동중학교와 분리되어 병설되었고, 금산여자중학교와 금산고등공민학교가 통합되어 금산중학교로 개편되었다. 또 금산고등기술학교가 금산고등공민학교에 부설되었다가 폐교되었고, 금산고등학교가 신설되었다. 1946년에는 금산여자중학원이 발족하여 1957년 금산여자고등학교로 인가를 받은 후, 1963년 행정 구역 개편으로 금산군이 충청남도로 편입되면서 금산여자고등학교가 금산읍으로 신축 이전하여 그 규모가 확대되었다. 또한 진산고등학교는 1995년 3월 1일에 진산공업고등학교로 교명을 변경한 후, 2011년 3월 1일에 금산하이텍고등학교로 다시 교명을 변경하였다.
[현황]
충청남도 금산군 내의 고등학교 현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2023년 기준 충청남도 금산군의 고등학교는 4개 학교에 54학급으로 편성되어 있으며, 총 971명의 학생이 재학하고 있다. 교직원은 교원 129명, 일반직 15명, 교육 공무직 50명이 근무하고 있다. 충청남도 금산군 금산읍에 금산산업고등학교와 금산고등학교, 금산여자고등학교가 있고, 진산면에 금산하이텍고등학교가 있다. 금산고등학교와 금산여자고등학교는 일반계 고등학교로, 금산산업고등학교와 금산하이텍고등학교는 특성화 고등학교로 분류된다. 특히 금산산업고등학교는 공업 계열과 농생명 산업 계열, 상업 정보 계열의 3개 계열 학과로 구성되어 있으며, 금산하이텍고등학교는 공업 계열 학과로만 구성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