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9200995 |
---|---|
한자 | 初等學校 |
영어공식명칭 | Elementary School |
분야 | 문화·교육/교육 |
유형 |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
지역 | 충청남도 금산군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이명진 |
[정의]
충청남도 금산군에 있는 초등 보통 교육 기관.
[개설]
초등학교는 만 6세~만 11세 아동들을 대상으로 국민 생활에 필요한 기초적인 초등 보통 교육을 실시할 목적으로 설치되었으며, 취학 연령 5세~6세, 교육 기간 6년의 의무 교육 기관이다. 조선 시대 서당을 기원으로 갑오개혁(甲午改革) 이후 근대적 교육 제도를 도입하면서 생긴 소학교에서 시작되었다. 1906년(고종 43) 8월 27일에 4년제 보통학교로 명칭이 바뀌었고, 1926년 7월 1일에 6년 과정의 심상소학교로 다시 명칭이 바뀌었다. 1941년 3월 31일에 국민학교로 명칭이 변경되었으며, 1996년 3월 1일 다시 초등학교로 개칭하였다.
초등학교 교육 과정은 1년 2학기제로 34주 190일 이상의 수업 일수로 편제되어 있고, 보통 1시간 수업은 40분이며, 3월 2일부터 시작된다. 교육 과정은 교과[군]와 창의적 체험 활동으로 편성한다. 교과[군]는 국어와 사회·도덕, 수학, 과학·실과, 체육, 예술[음악·미술], 영어로 한다. 다만, 초등학교 1학년·2학년의 교과는 국어와 수학, 바른 생활, 슬기로운 생활, 즐거운 생활, 안전 생활로 한다. 창의적 체험 활동은 자율 특색 활동과 동아리 활동, 봉사 활동, 진로 활동으로 한다.
[현황]
2023년 기준 충청남도 금산군의 초등학교는 16개 학교에 148학급으로 편성되어 있다. 분교장 1개는 미포함이고, 특수 학급 17학급은 포함되어 있다. 총 1,707명의 학생이 재학하고 있으며, 교원 223명과 일반직 37명, 교육 공무직 147명이 근무하고 있다. 충청남도 금산군 금산읍에 금산중앙초등학교와 금산초등학교, 금산동초등학교가 있으며, 금성면에는 금성초등학교와 금성초등학교 금계분교장이 있다. 충청남도 금산군 제원면에 제원초등학교가, 부리면에 부리초등학교가, 군북면에 군북초등학교와 용문초등학교, 상곡초등학교가 있다. 충청남도 금산군 남일면에는 남일초등학교가, 남이면에 남이초등학교가, 진산면에 진산초등학교가 있다. 충청남도 금산군 복수면에는 복수초등학교와 신대초등학교가 있고, 추부면에 추부초등학교와 성대초등학교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