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금산문화대전 > 금산향토문화백과 > 삶의 내력(역사) > 전통 시대 > 고대
-
초기 국가 시대부터 남북국 시대까지 충청남도 금산 지역의 역사와 문화. 금산은 충청남도의 동남단에 위치하고 있는 지역으로, 영동·완주·무주·진안·대전·옥천 등과 인접하며, 충청도와 전라도 지역의 경계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노령산맥과 소백산맥이 각각 군의 중북부와 동남부를 지나는 산악지대에 해당된다. 이러한 지리적 특성으로 인해 금산 지역은 옛부터 군사적으로 중요시되어 지정학적·방...
-
충청남도 금산 지역으로 비정되기도 하는 가야의 지명. 백제는 한성 함락 이후, 금강 이남 지역에 대한 지방 경략을 본격화하였다. 특히 임나로 통하는 길목인 이림과 대산성을 장악하여 섬진강 유역에 대한 진출로를 확보하고자 하였다....
-
충청남도 금산 지역을 지나가는 백제 시대의 동쪽 교통로. 『일본서기』에 의하면, 487년(동성왕 9), 임나[가야]의 나기타갑배가 계책을 사용하여 대산성을 쌓아 백제의 동쪽 길[東道]을 막고. 군량을 운반하는 나루를 차단하였다고 한다. 이에 백제는 영군 고이해와 내두 막고해를 파견하여 대산성에서 전투를 벌였다고 한다. 이 사료의 내용에 등장하는 동도는 지명으로 읽힐 수도 있겠지만...
-
충청남도 금산 지역으로 비정되는 백제부흥운동 관련 지명. 두시원악은 660년 나당연합군에 의해 백제가 멸망한 이후, 백제부흥운동이 일어난 지역 중의 하나이다....
-
충청남도 금산 지역에 편제된 백제의 지방 행정 구역. 두시이현(豆尸伊縣)은 백제 시대 금산 지역 관할을 위해 설치한 지방 행정 구역이다. 백제 사비기 완비된 지방 통치 체제는 방·군·성(方·郡·城)제이며, 두시이현은 진잉을군(進仍乙郡)에 딸린 3개의 영현 중에 하나이다. 두시이현은 오늘날 금산군 부리면 일대와 전북특별자치도 무주군 부남면 일대로 비정된다....
-
충청남도 금산군 부리면 일대와 전북특별자치도 무주군 부남면 일대에 편제된 통일 신라 시대 지방 행정 구역. 이성현(伊城縣)은 통일 신라 시대 금산 지역 관할을 위해 설치한 지방 행정 조직이다. 지방 통치 체제인 주·군·현제(州·郡·縣制)에 따라 이성현은 진례군에 딸린 3개 영현 중 하나이다. 이성현은 오늘날 금산군 부리면 일대와 전북특별자치도 무주군 부남면 일대로 비정된다....
-
충청남도 금산군 진산면 일대에 편제된 백제의 지방 행정 구역. 진동현(珍同縣)은 백제 시대 금산 지역 관할을 위해 설치한 지방 행정 구역이다. 백제 사비기 완비된 지방 통치 체제는 방·군·성(方·郡·城)제이며, 진동현은 황등야산군(黃等也山郡)에 딸린 2개의 영현 중에 하나이다. 진동현은 오늘날 금산군 진산면 일대로 비정된다....
-
충청남도 금산 지역에 편제된 통일 신라 시대 지방 행정 구역. 진례군은 통일 신라 시대 금산 지역 관할을 위해 설치한 지방 행정 구역이다. 지방 통치 체제인 주·군·현제(州·郡·縣制)에 따라 진례군은 이성현(伊城縣), 청거현(淸渠縣), 단천현(丹川縣) 총 3개의 영현을 거느렸다. 현재 금산군 금산읍 일대로 비정된다....
-
충청남도 금산군 금산읍 일대에 편제된 백제의 지방 행정 구역. 진잉을군(進仍乙郡)은 백제 시대 금산 지역 관할을 위해 설치한 지방 행정 구역이다. 백제 사비기 완비된 지방 통치 체제는 방·군·성(方·郡·城)제이며, 진잉을군은 두시이현(豆尸伊縣), 물거현(勿居縣), 적천현(赤川縣) 총 3개의 영현을 거느렸다. 진잉을군은 오늘날 금산군 금산읍 일대로 비정된다....
-
충청남도 금산 지역으로 비정되는 백제 시대 신라와의 요충지였던 고개. 탄현은 백제 동성왕대 처음 등장한 지명으로 신라의 침입에 대비하기 위하여 탄현에 목책을 세웠다고 한다. 백제 의자왕대 충신 성충은 다른 나라의 군사가 육로를 통해 탄현을 넘어오지 못하게 막을 것을 간언하였다. 흥수 또한 나당연합군이 백제로 진격해올 때, 특히 신라군이 백제의 요충지인 탄현을 지나지 못하게 하고 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