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시이현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200337
한자 豆尸伊縣
영어공식명칭 Dusiihyeon
이칭/별칭 부시이현,부리현
분야 역사/전통 시대
유형 제도/법령과 제도,지명/고지명
지역 충청남도 금산군
시대 고대/삼국 시대/백제
집필자 강유나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제정 시기/일시 백제 사비기 - 두시이현 설치
개정 시기/일시 757년연표보기 - 두시이현에서 이성현으로 개칭
개정 시기/일시 고려 시대 - 이성현에서 부리현으로 개칭
개정 시기/일시 조선 시대 - 부리현, 부동면·부서면·부북면·부남면으로 편제
관할 지역 두시이현 - 충청남도 금산군 부리면 및 전라북도 무주군 부남면 일대지도보기

[정의]

충청남도 금산 지역에 편제된 백제의 지방 행정 구역.

[개설]

두시이현(豆尸伊縣)은 백제 시대 금산 지역 관할을 위해 설치한 지방 행정 구역이다. 백제 사비기 완비된 지방 통치 체제는 방·군·성(方·郡·城)제이며, 두시이현진잉을군(進仍乙郡)에 딸린 3개의 영현 중에 하나이다. 두시이현은 오늘날 금산군 부리면 일대와 전북특별자치도 무주군 부남면 일대로 비정된다.

[제정 경위 및 목적]

백제 사비 시대 지방 통치 제도인 방·군·성제가 실시되면서, 금산 지역에는 진잉을군이 편제되었는데, 이에 딸린 3개의 영현 중의 하나가 바로 두시이현이다.

[관련 기록]

『삼국사기』 권36 잡지에 따르면, “진례군(進禮郡)은 본래 백제 진잉을군(進仍乙郡)으로, 경덕왕이 이름을 고쳤는데, 지금도 그대로 쓴다. 영현(領縣)이 셋이다. 이성현(伊城縣)은 본래 백제 두시이현(豆尸伊縣)으로, 경덕왕이 이름을 고쳤는데, 지금의 부리현(富利縣)이다. …….”라고 기록되어 있다. 또한 『삼국사기』 권37 잡지 완산주의 군현에 대한 기록에서는 “…두시이현(豆尸伊縣)[한편 부시이(富尸伊)라고도 이른다.]…….”라고 기록되어 있다. 이를 볼 때, 두시이현은 ‘부시이현’라는 별칭 혹은 이칭이 있었던 것을 알 수 있다.

이 외에 『고려사』 지리지, 『세종실록지리지』, 『신증동국여지승람』, 『동국여지지』, 『여지도서』, 『금산군읍지』, 『대동지지』 등에서도 두시이현 관련 기록을 확인할 수 있다.

[내용]

두시이현은 백제 시대 금산 지역의 관할을 위해 설치된 행정조직 중의 하나이다. 백제 시대 금산 지역에는 두시이현두시이현의 상부기관인 진잉을군이 편제되었는데 그 시기는 분명하지 않다. 다만, 백제의 지방 통치 체제인 방·군·성제[전국을 방으로 구획하고, 방 아래 군을 설치하고, 다시 군 아래에 성을 편제시키는 제도]의 실시는 사비 시대에 이루어진 것으로 짐작되는데, 이때 두시이현의 편제가 이루어졌을 것으로 추정된다.

두시이현은 오늘날 금산 지역의 부리면 일대와 전북특별자치도 무주군 부남면 일대로 비정된다. 이를 볼 때, 백제 시대 두시이현은 오늘날 금산 지역의 행정 구역과 달리 무주 지역 일부가 포함된 것을 알 수 있다.

[변천]

백제 시대에 설치되었던 두시이현은 757년(신라 경덕왕 16)에 이성현으로 개칭되었다. 통일 신라 시대 이성현은 고려 시대에 이르러 부리현(富利縣)으로 개칭되었다. 고려 시대 부리현은 조선 시대에 부동(富東)·부서(富西)·부북(富北)·부남(富南)의 4개 면으로 나뉘어 편제되었다. 4개 면 가운데 오늘날 금산 지역에 속하는 것은 부동·부서·부북의 3개 면이며, 부남면은 오늘날 전북특별자치도 무주군 부남면 일대이다.

[의의와 평가]

문헌에 남아있는 기록을 바탕으로 고대 금산 지역에 편제된 군현과 그 변천 과정을 엿볼 수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