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9201261 |
---|---|
영어공식명칭 | Riddle |
분야 | 구비 전승·언어·문학/언어 |
유형 |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
지역 | 충청남도 금산군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이강혁 |
[정의]
충청남도 금산 지역에서 사용되는 언어유희이자 구비 문학의 가장 단순한 형태.
[개설]
충청남도 동남에 자리한 금산은 충청북도와 전북특별자치도 등 여러 지역과 경계를 이루는 지정학적 특징으로 인하여 다양한 문화를 접하고 지역의 정체성을 뚜렷하게 확립할 수 있었다. 또한 행정적으로는 반 세기가량 전라북도[현 전북특별자치도]에 편입되었다가 1963년 충청남도로 편입되었는데, 이러한 역사적 사실을 통하여 금산의 문화와 언어는 전라도와 충청도를 오가는 혼효 현상을 가지고 있다. 언어와 문학으로 볼 수 있는 수수께끼는 자연스레 금산의 특별한 정체성을 담아내었는데, 단순한 구비 문학을 넘어 유쾌한 언어유희와 공동체 의식을 엿볼 수 있는 장르이기도 하다.
수수께끼는 묻는 사람과 답변하는 사람이 함께 참여하여야 하는 공동 언어 예술 형식이며, 언어 형식 측면에서는 단문 혹은 복문으로 이루어진 한 문장이며 단순한 묘사 혹은 묘사를 넘어선 비유가 사용된다. 또한 어느 정도 상상력을 필요로 하는 은유, 환유적 표현도 담겨 있다. 이처럼 수수께끼는 두 명 이상이 대화에 참여하는 공동 언어 예술 형식을 갖고 있으며, 은유적이고 고차원적인 유머가 깃들어 있는 놀이의 한 형식이다. 따라서 최종적으로 수수께끼는 교육적인 기능과 오락적인 기능뿐만 아니라 지적 계발의 기능과 유머의 생활화 및 사회화 기능 등을 포함하고 있다.
[인물 및 신체 관련 수수께끼]
- 감은 감인데 못 먹는 감은? 답) 영감
- 차지 못하는 주머니는? 답) 아주머니
- 돈은 돈인데 못 쓰는 돈은? 답) 사돈
- 배워서 남 주는 사람은? 답) 선생님
- 감을 줄만 알고 풀 줄 모르는 것은? 답) 눈
- 술과 술이 맞닿은 것은? 답) 입술
- 넓은 들판에 옹달샘 하나 있는 것은? 답) 배꼽
- 쪽박 두 개 엎어진 것은? 답) 궁둥이
- 단지는 단지인데 그릇이 아닌 단지는? 답) 장단지[장딴지]
- 조개는 조개인데 바다에 살지 않는 조개는? 답) 보조개
- 넘어지면 꽃 피는 것은? 답) 무릎
- 씨앗을 뿌리지 않았는데도 나는 것은? 답) 머리털
- 톱은 톱인데 썰지 못하는 톱은? 답) 발톱, 손톱
- 간장은 간장인데 못 먹는 간장은? 답) 애간장
[동물 관련 수수께끼]
- 낮에는 숨고 밤에만 반짝이는 것은? 답) 반딧불
- 나는 개미는? 답) 솔개미
- 개는 개인데 못 짖는 개는? 답) 솔개
- 알을 낳아놓고 보아 까는 것은? 답) 자라
- 객이 오면 먼저 나가 인사하는 것은? 답) 개
- 거꾸로 매달려 자는 것은? 답) 박쥐
- 눈뜨고 잠자는 것은? 답) 토끼
- 뿔 없는 소는? 답) 송아지
- 물속의 버들잎은? 답) 버들붕어
- 가도 가도 오리밖에 못 가는 것은? 답) 오리
- 날지 못하는 오리는? 답) 가오리
- 귀는 귀인데 걸어 다니는 귀는? 답) 당나귀
- 새는 새인데 날지 못하는 새는? 답) 노새
- 서서 자는 것은? 답) 말
- 꼬리는 꼬리인데 나는 꼬리는? 답) 꾀꼬리
[식물 관련 수수께끼]
- 갓은 갓이나 못 쓰는 갓은? 답) 쑥갓
- 눈물 없이 우는 새는? 답) 으악새
- 꽃은 꽃인데 따뜻한 꽃은? 답) 목화
- 더우면 옷을 입고 추우면 옷을 벗는 것은? 답) 나무
- 둥근 뼈 속에 살이 있는 것은? 답) 호두
- 낮에는 골[성]내고 밤에는 웃는 꽃은? 답) 박꽃
- 해가 있으면 웃고 비가 오면 고개 숙이는 것은? 답) 해바라기
- 늙어도 푸른 것은? 답) 소나무
- 어미는 아래에 있고 자식은 머리에 올라가 있는 것은? 답) 소나무
- 노랗고 동그란 자는? 답) 탱자
- 기둥 하나에 집 지은 것은? 답) 버섯
[농기구 및 생산성 기구 관련 수수께끼]
- 옆으로 먹고 옆으로 나오는 것은? 답) 작두
- 온 산을 다 뜯어먹어도 배가 부르지 않는 것은? 답) 낫
- 앞산에서 뚝딱, 뒷산에서 뚝딱하는 것은? 답) 도끼
- 나무를 파고 들어가 밥을 만드는 것은? 답) 톱
- 삼 형제 어울려 똥구멍이 하나인 것은? 답) 쇠스랑
- 나무 밑에서 발광하는 것은? 답) 갈퀴
- 죽은 나무가 산 고기를 쫓아가는 것은? 답) 쟁기
- 등에 뿔난 것은? 답) 지게
- 등걸은 살았으나 뿌리는 죽은 것은? 답) 쇠고삐
- 때리는 것이 일인 것은? 답) 망치
[가재도구 및 생활용품 관련 수수께끼]
- 공중에 두 다리 쭉 뻗고 누워 있는 것은? 답) 선반
- 밤에는 싣고, 낮에는 짐을 부리는 것은? 답) 횃대
- 불만 먹고 사는 것은? 답) 아궁이
- 발은 네 개인데 입이 하나 달린 것은? 답) 뒤주
- 벌벌 떨면서도 신나게 노래하는 것은? 답) 문풍지
- 묵은 묵인데 먹지 못하는 묵은? 답) 윗묵, 아랫묵
- 일 년에 옷 한 번씩 얻어 입는 것은? 답) 초가지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