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9201065 |
---|---|
한자 | 錦山人蔘酒 |
분야 | 생활·민속/생활 |
유형 | 음식물/음식물 |
지역 | 충청남도 금산군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김효경 |
[정의]
충청남도 금산군에서 인삼을 넣어 명절마다 빚어 먹던 가양주.
[연원 및 변천]
금산군 주민들은 직접 재배한 인삼을 소주에 담가 명절에 사용하였다. 맑은 인삼주를 만들어 동네 주민들과 나누어 마시던 전통주이며 발효주이다. 금산 출신 김창수 명인은 1972년에 직접 운영하던 막걸리 양조장에서 가문에서 전해 온 인삼주를 만들기 시작하였다. 소주에 인삼을 담가서 인삼 향만 내던 침출주가 아니라 인삼의 효능과 정취를 마실 수 있도록 만든 발효주를 만들었다. 16대째 집안에서 전해 내려온 발효 기법으로 만들어 술 속에 인삼이 녹아 있는 술을 완성하였다.
[만드는 법]
발효주인 금산인삼주는 약효가 가장 뛰어난 5년근 이상의 인삼을 저온 발효시킨다. 쌀과 누룩에 인삼을 분쇄해 넣고 저온[18~22도]에서 발효한다. 물맛 좋기로 유명한 금산군 금성면 물탕골의 천연 암반수를 사용해 인삼의 향기가 더욱 살아 있다. 10일간 밑술을 제조하고, 술덧을 담근 후 60일 동안 발효를 두 차례로 나누어 주발효와 후발효를 시킨다. 술을 거른 후 30일 동안 숙성시켜 완성한다. 금산인삼주에 인삼이 보이지 않지만 인삼의 효능과 맛과 향이 살아 있다.
[생활 민속적 관련 사항]
인삼 재배 고장으로 유명한 금산군에서 인삼을 이용해 빚어 먹던 인삼주의 발효 전통을 이어 가공한 전통주이다. 비록 지금은 현대식 시설에서 생산되지만 16대째 집안 손 내림으로 전승되던 금산 지역에서만 맛볼 수 있는 대표 발효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