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9200983 |
---|---|
이칭/별칭 | 조팝꽃피는마을희망센터 |
분야 | 지리/인문 지리 |
유형 | 지명/행정 지명과 마을 |
지역 | 충청남도 금산군 제원면 길곡길 8[길곡리 391]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이동현 |
설립 시기/일시 | 2009년![]() |
---|---|
개칭 시기/일시 | 2012년![]() |
관련 사항 시기/일시 | 2014년 - 조팝꽃피는마을 팜 스테이 마을 지정 |
관련 사항 시기/일시 | 2018년 4월 10일 - 조팝꽃피는마을 대산농촌재단과 업무 협약 체결 |
관련 사항 시기/일시 | 2018년 - 조팝꽃피는마을 으뜸촌 지정 |
관련 사항 시기/일시 | 2018년 - 조팝꽃피는마을 제1회 깨끗하고 아름다운 농촌마을 가꾸기 경진대회 장려상 수상 |
현 소재지 | 조팝꽃피는마을 -
충청남도 금산군 제원면 길곡길 8[길곡리 391]![]() |
성격 | 농촌 체험 마을 |
전화 | 041-753-5382 |
[정의]
충청남도 금산군 제원면 길곡리에 있는 농림부 산하 농촌 체험 마을.
[개설]
조팝꽃피는마을은 천연기념물 제324-2호 수리부엉이와 천연기념물 제324-6호 소쩍새, 천연기념물 제327호 원앙, 그리고 반딧불과 보호종 도롱뇽이 있는 농촌 체험 휴양 마을이다. 농림부 산하 영농 조합 법인 단체로서 농촌의 다양한 체험 활동을 희망하는 사람들이 방문하여 특색 있는 체험을 하고, 각 기관에서는 워크숍 장소로 활용하여 각종 교육도 실시하고 있다. 계절별로 각종 농산물을 체험할 수 있으며, 전통문화와 전래 놀이 등도 체험이 가능하다.
[설립 목적]
조팝꽃피는마을은 금산군 지역에서 농촌 활동을 주제로 한 체험형 활동 운영과 학생들의 학습을 위해 설립하였다.
[변천]
2009년 신안희망센터로 설립되었다. 농어촌 권역 사업의 일환으로 농림축산식품부로부터 사업 승인을 받아 7개 마을이 영농 조합 형태로 마을 공동체 사업을 시작하였다. 금산군에서 [구]길안초등학교 폐교지를 매입하여 신안희망센터 건물을 지었으며, 삼삼영농조합(蔘蔘營農組合)으로 금산군 지역의 7개 마을에서 공동체 사업을 운영하였다. 2012년 신안희망센터 7개 마을 공동체가 해체되었고, 신안희망센터가 있는 현재의 마을에서 조팝꽃피는마을로 개칭하여 다시 시작하였다.
[주요 사업과 업무(활동 사항)]
조팝꽃피는마을은 금산군의 농촌을 주제로 한 학생들의 농촌 마을 체험과 학습 활동, 각 기관의 워크숍, 마을 공동체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2014년 팜 스테이 마을로 지정되어 전통 놀이, 농산물 수확 체험 및 홍삼청국장, 홍삼고추장과 같은 발효 음식 담그기 등 다양한 농촌 체험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2018년 4월 10일에는 대산농촌재단과 업무 협약을 체결하였다. 업무 협약에 따라 대산농촌재단은 전국 가족 단위 신청자 가운데 조팝꽃피는마을에서 선정한 가족을 대상으로 1박 2일, 2박 3일 일정으로 농산물 체험과 시골 밥상 먹거리 체험 등 가족애를 다질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또한 조팝꽃피는마을은 농림축산식품부가 전국 953개 농촌 체험 마을 중 484개 마을 사업을 대상으로 실시한 4개 부문 심사에서 1등급을 받아 으뜸촌으로 지정되었다. 아울러 같은 해에 농업협동조합에서 개최한 ‘제1회 깨끗하고 아름다운 농촌마을 가꾸기 경진대회’에서 장려상을 수상하였다. ‘깨끗하고 아름다운 농촌마을 가꾸기 경진대회’는 깨끗하고 쾌적한 농촌 환경 조성을 통한 농업의 공익적 가치 확산을 위해 농업협동조합이 개최하는 대회이다.
2022년 8월 23일에는 농협중앙회 금산군지부의 농가주부모임[농주모]이 금산군연합회 회원과 함께 조팝꽃피는마을을 찾아 주부 농산물 체험·구매단 활동을 하였다. 농가주부모임 회원들은 삼채나물 수확과 장아찌 만들기, 금산 전통 인삼 꽃병 담그기 등 농산물 수확과 농촌 체험 프로그램에 참여하였다.
[현황]
2023년 현재 조팝꽃피는마을은 단체를 총괄하는 위원장 1명과 농림축산식품부 지원을 받아 운영하는 사무장 2명으로 구성되어 있다. 위원장은 봉사직이자 명예직으로 배순철이 활동하고 있다.
[의의와 평가]
조팝꽃피는마을은 금산군 지역의 마을 공동체 사업을 통해 얻은 소득을 조합원에게 분배하고, 계절별 각종 농촌 활동을 체험 형태로 제공하며 기업에 다양한 행사를 지원하고 있다. 마을에 꽃동산을 조성하는 등 경관 조성 사업을 실시하여 지역 발전에 기여하는 바가 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