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려서원 터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200559
한자 草廬書院 -
이칭/별칭 반계서원 터,초려서원지,반계서원지
분야 종교/유교,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터
지역 충청남도 금산군 금성면 하류리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최영숙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건립 시기/일시 1632년연표보기 - 초려서원 건립
훼철|철거 시기/일시 1871년연표보기 - 초려서원 훼철
현 소재지 초려서원 터 - 충청남도 금산군 금성면 하류리 지도보기
성격 서원 터

[정의]

충청남도 금산군 금성면 하류리에 있는 조선 후기 서원 터.

[개설]

초려서원(草廬書院)금산군 금성면 하류리 서원말에 있던 서원으로, 초려(草廬) 이유태(李惟泰)[1607~1684]를 배향하였었다. 1694년(숙종 20)에 이유태가 현 금산군 금성면 파초리에 반계서원(磻溪書院)을 세워 후학을 가르쳤다고 하는데, 반계서원은 초려서원의 다른 이름으로 추정된다.

반계서원은 금산군 금성면 파초리에 있던 서원으로 이유태를 배향하였으나, 현재 서원의 유적은 찾을 수 없다. '반계(磻溪)'라는 이름은 파초리 앞의 내에 반석이 있으므로 ‘반초’ 또는 ‘반계’라고 한 데에서 나왔고, 이것이 ‘파초’로 변하였다고 한다. 『초려집(草廬集)』의 「성곡서원유생권학규」와 『시남집』「문회당기」에 의하면, 이유태는 여러 형제들과 함께 유곡리[파초리의 인근 마을]에 문회당(文會堂)을 건립하여 수천 권의 경서를 비치하고 강학하였다고 한다. 반계서원에 대하여 알 수 있는 자료는 『열읍원우사적(列邑院宇事蹟)』뿐이다. 『열읍원우사적』을 보면, 이유태가 세상을 떠난 지 10년 후인 1694년에 금산읍 유생 이진환 등이 상소하여 서원 건립을 요청하였으나 관철되지 않고 있다가, 1721년(경종 1)에 창건되어 이유태를 독향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다. 1742년(영조 18) 서원 정리 정책[숙종 40년 이후에 건립된 영당이나 사우 철폐]으로 반계서원도 철폐된 것으로 보인다.

한편 『조두록(俎豆錄)』과 『동국원우록』에는 향현사(鄕賢祠)의 이름으로 윤선거이유태를 병향(竝享)하였다고 나온다. 1765년(영조 41)에 편찬된 『금산군읍지(錦山郡邑誌)』에 따르면 금성면은 서일면과 서이면으로 각각 나뉘어 소속되었으나, 실제로 두 마을은 가깝게 인접해 있었다. 『유림교본』[금산향교, 1991]의 ‘서원·사우의 연혁’에서는 초려서원과 반계서원을 서로 다른 지역에서 설립된 별개의 서원으로 서술하였다. 초려서원은 1632년(인조 10) 하류리 유곡동에 미촌 윤선거가 사숙을 개설하였고, 숙종 때에 이유태초려서원에서 후학을 가르쳤으므로 윤선거이유태를 배향하고 향사하다가, 1871년(고종 8)에 훼철되었다고 하였다. 그리고 반계서원은 1694년(숙종 20)에 파초리에 세워 초려 이유태가 후학을 가르쳤으므로, 후학들이 이유태를 배향하였다고 하였다. 그러나 가까운 두 마을의 서원에서 이유태를 각각 따로 배향하였으리라고는 생각되지 않는다. 반계서원과 초려서원이 별개의 서원이라기보다는 동일 서원에 대한 다른 이름일 것으로 보인다.

또한 이유태의 호가 ‘액호’로 쓰여진 초려서원에서 실제로 윤선거를 배향하였을지도 의문이다. 다만 윤선거초려서원에서 배향되었다 할지라도, 반계서원이 건립된 이후 오랜 시간 동안 노론이 집권하면서 노론 측에서 윤선거에 대한 새로운 평가가 제기되었을 것이고, 이에 따라 서원 내에서의 변화가 있었을 것으로 짐작된다. 그러나 반계서원과 초려서원에 대한 그 밖의 자료와 유적은 확인되지 않아 정확한 사실은 알 수 없다.

[위치]

초려서원 터금산군 금성면하류리파초리에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정확한 위치는 확인할 수 없다.

[변천]

미촌(美村) 윤선거(尹宣擧)가 1632년(인조 10)에 초려서원을 건립하였고, 이는 숙종 말엽 이유태가 계승한 노론파의 근거지가 되었다. 초려 이유태가 세상을 떠나자 초려서원에서 공부하던 유생들이 윤선거이유태의 위패를 모시고 둘의 학설과 학풍을 계승하였다. 1871년(고종 8) 흥선대원군의 서원 철폐령에 의해 헐렸으며, 현재는 그 유지만 남아 있다.

[의의와 평가]

초려 이유태는 예학에 뛰어나고 치국 경제에 있어서 이이(李珥)를 모범으로 삼아 점진적인 경장론을 전개하였다. 초려서원은 당시 이유태의 사상과 강학 행적을 알 수 있는 중요한 자료이나 그 자리는 확인할 수 없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