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9200552 |
---|---|
한자 | 錦山鄕校 |
분야 | 종교/유교,문화유산/유형 유산 |
유형 | 유적/건물 |
지역 | 충청남도 금산군 금산읍 비단로 298[상리 4] |
시대 | 조선/조선 전기 |
집필자 | 최영숙 |
훼철|철거 시기/일시 | 1592년![]() |
---|---|
이전 시기/일시 | 1684년 - 금산향교 충청남도 금산군 금산읍 상리 4로 이건 |
개축|증축 시기/일시 | 1984년 - 금산향교 명륜당 중수 |
특기 사항 시기/일시 | 1984년 5월 17일 - 금산향교 대성전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14호 지정 |
특기 사항 시기/일시 | 1997년 12월 23일 - 금산향교 대성전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14호 해제 |
문화재 지정 일시 | 1997년 12월 23일![]() |
관련 사항 시기/일시 | 2021년 11월 19일 - 금산향교 문화재청고시 제2021-141호에 따라 지정 번호 삭제 |
현 소재지 | 금산향교 -
충청남도 금산군 금산읍 비단로 298[상리 4]![]() |
성격 | 향교 |
양식 | 겹처마 맞배지붕[대성전]|홑처마 맞배지붕[동무·서무, 동재·서재]|홑처마 팔작지붕[명륜당] |
소유자 | 향교재단 |
관리자 | 향교재단 |
[정의]
충청남도 금산군 금산읍 상리에 있는 조선 전기 지방 관학 기관.
[개설]
향교(鄕校)는 군현(郡縣)에 설립하였던 유일한 관학 기관으로서, 금산향교(錦山鄕校)에는 교생 50인에 훈도 1인을 두어 교육하였다. 현재의 고등학교 교육에 해당하며, 이들에게는 사마시[지방관 시험]에 응시할 수 있는 자격을 주었다. 교생은 각 서원의 원생과 서당에서 수학한 사람 가운데 시험에 합격한 사람으로 하였다.
[위치]
금산향교는 금산군 금산읍 상리 4번지, 비호산 아래에 자리 잡고 있다. 금산군청에서 300m 거리에 있다. 금산군청 뒤편으로 가다 보면 금산상리주공아파트가 보이는데, 금산향교는 금산상리주공아파트 맞은편에 있다.
[변천]
금산향교의 창건 연대는 확실하지 않으나, 『동국여지승람(東國輿地勝覽)』에 의하면 조선 초에는 금산읍 하옥리 백학동에 있었다고 한다. 고려 때 김신(金侁)과 윤택(尹澤), 한교(韓皦) 등을 배출하였고, 읍호가 금주(錦州)로 승격된 것으로 보아 고려 말에 이미 국학 기관이 있었을 것으로 추측된다. 조선이 건국된 후 억불 숭유(抑佛 崇儒) 정책과 전국의 향교 건립 추세로 보면, 늦어도 태조에서 태종 대 사이에 건립된 것으로 보인다. 이후 200여 년간 지방 교육에 공헌하였으나,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으로 인하여 소실되었다가 전쟁이 끝난 후 보수하였다. 1684년(숙종 10)에 현재 위치인 금산군 금산읍 상리 비호산 아래로 이전하여 재건하였고, 이후 여러 차례 증수와 보수를 하였다. 1984년에 명륜당을 중수하였으며, 수차례에 걸쳐 정부 시책과 군수의 배려로 대성전(大成殿)과 동무·서무를 개보수하였다.
더불어 양성루(養成樓)가 금산향교에 있었다는 내용이 전한다. 『동국여지지(東國輿地誌)』에 의하면 양성대는 이사동이 건립하였으며, 지군 권기가 기문을 썼다. 1453년(단종 1) 이전에 건물을 지었던 것으로 보인다. 이후 1757년(영조 33)에 편찬된 『여지도서(輿地圖書)』까지는 양성대의 존재가 확인된다. 그러나 1793년(정조 17)에 편찬된 『금산군지』에는 건물이 없다는 기록이 있으므로, 양성대와 양성루는 1700년대 이전에 사라진 것으로 추측된다. 금산향교와 진산향교(珍山鄕校)에 대한 기록은 많지 않은데, 『문종실록(文宗實錄)』의 1451년(문종 1) 9월 4일 기사에 금산에 부임하였던 허안석(許安石)이 첩의 아들 허모지리(許毛知里)를 금산향교에 취학시켰다는 내용이 보인다.
개항기, 시대 변천과 개화의 물결에 따라 1907년(순종 1) 홍범식 군수 재임 시[1909~1910년] 금산 지역에 사립금신학교[현 중앙초등학교]가 세워지자 향교 재산의 일부를 기증하였으며, 교생도 없어졌다.
[형태]
대성전과 동무·서무가 있고, 명륜당과 동재·서재, 동재각·서재각, 내삼문·외삼문 등의 건물로 구성되어 있다. 금산향교 외삼문과 내삼문은 솟을삼문이며, 안으로 들어서면 정면에 명륜당을 두고 뒷면에 대성전을 두는 전학후묘식(前學後廟式)으로 배치되어 있다. 대성전은 겹처마 맞배지붕이며, 동무·서무는 홑처마 맞배지붕으로 되어 있다. 명륜당은 홑처마 팔작지붕이며, 동재와 서재는 홑처마 맞배지붕이다.
[현황]
금산향교는 1997년 12월 23일에 충청남도 기념물 제121호로 지정되어 향교재단에서 관리하고 있다. 이후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청고시 제2021-141호 「문화재 지정[등록]번호 삭제 및 문화재명 표기 방식 변경 고시」에 따라 지정 번호가 삭제되었다.방학을 이용하여 충(忠)·효(孝)·예(禮) 교실을 운영하고 있으며, 성균관유도회 금산군지부 주관으로 성인식과 전통 혼례를 진행하고 있다. 또한, 문화재청 산하 비단골문화재지킴이 봉사 단체에서 진행하는 ‘금이 산이 향교 댕겨 올께유~’라는 프로그램이 2021년부터 ‘향교 서원 문화재 활용 사업 110선’에 선정되어 금산군의 문화재를 알리는 등 다양한 활동을 펼치고 있다. 한편, 금산향교 대성전(錦山鄕校 大成殿)은 1984년 5월 17일 충청남도 문화재 제14호로 지정되었으나, 1997년 12월 23일에 지정 해제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