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200527
한자 錦山 桂珍里 寶通寺 -
영어공식명칭 Geumsan Gyejin-ri Temple Site Botongsa
이칭/별칭 금산 계진리 보통사지,보통사 터
분야 종교/불교,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터
지역 충청남도 금산군 금산읍 계진리
시대 고대/삼국 시대/백제
집필자 이지송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소재지 금산 계진리 보통사 터 - 충청남도 금산군 금산읍 계진리 지도보기
성격 절터

[정의]

충청남도 금산군 금산읍 계진리에 있는 백제 시대 절터.

[변천]

보통사(寶通寺)는 백제 아신왕(阿莘王) 때 백제 성주가 창건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위치]

금산군 금산읍 계진리 족실마을을 지나 선공암(善功庵) 쪽으로 가다 보면 미륵불 1기가 서 있는 밭이 나온다. 이 밭이 금산 계진리 보통사 터 자리로 추정된다.

[현황]

금산 계진리 보통사 터로 추정되는 자리는 대부분 밭으로 개간하여 평평한 지형을 유지하고 있으며, 사찰의 흔적은 찾을 수 없다. 현재 밭에 미륵불 1기가 서 있다. 원래 밭에 있던 미륵불을 선공암으로 옮겼었는데, 이후 마을에 좋지 않은 일이 자주 생겨 주민들의 요구로 다시 제자리로 옮겨 치성을 드리고 있다. 미륵불의 높이는 193㎝, 최대 너비는 102㎝로, 길쭉한 사다리꼴 모양을 하고 있다. 얼굴에는 수염이 표현되어 있고 손은 합장하고 있다. 금산 계진리 보통사 터와 관련 있는 미륵불인지는 정확하지 않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