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200520
한자 元曉庵
이칭/별칭 원효사
분야 종교/불교,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건물,기관 단체/사찰
지역 충청남도 금산군 남이면 진악로 428[하금리 산2]
시대 고대/남북국 시대/통일 신라
집필자 박초롱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문화재 지정 일시 1991년 4월 16일연표보기 - 원효암 금산군 향토유적 제5호 지정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21년 11월 19일 - 원효암 문화재청고시 제2021-141호에 따라 지정 번호 삭제
현 소재지 원효암 - 충청남도 금산군 남이면 진악로 428[하금리 산2]지도보기
성격 암자
정면 칸수 4칸[원효암 대웅전]
측면 칸수 3칸[원효암 대웅전]
소유자 보석사
관리자 보석사

[정의]

충청남도 금산군 남이면 하금리에 있는 대한불교조계종 보석사 부속 암자.

[위치]

원효암(元曉庵)금산군 남이면 하금리 산2번지에 있다. 진악산(進樂山) 자락에 자리하며, 최고봉인 관앙불봉 남쪽에 위치한다.

[변천]

원효암의 창건에 대해서는 원효대사(元曉大師) 창건설과 조구대사 창건설로 나뉜다. 조구대사가 누구인지는 알 수 없으나 신라 헌강왕 대에 활동한 인물로 보이며, 조구대사 창건설이 정설로 되어 있다. 창건 이후 폐사되었다가 조선 말기에 중건되었다. 조선 시대에 다시 폐사되었다가 원효암으로 새롭게 창건되었다. ‘원효암’이라는 이름은 후대에 붙였으며, 본래는 원효사라는 사찰이었다.

[형태]

대웅전과 산신각, 요사채 등이 남아 있다. 대웅전의 규모는 정면 4칸, 측면 3칸이다. 옛 대웅전 건물은 낙봉대인(樂峰大仁) 승려에 의해 중수되었던 것인데, 2000년대에 개축·보수하였다. 당시 상량문과 현판, 기록 판문 등이 발견되어 보존 중이다.

[현황]

원효암은 1991년 4월 16일에 금산군 향토유적 제5호로 지정되었다. 이후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청고시 제2021-141호 「문화재 지정[등록]번호 삭제 및 문화재명 표기 방식 변경 고시」에 따라 지정 번호가 삭제되었다. 보석사(寶石寺)에 부속된 암자로서 보석사에서 관리하고 있다. 진악산 등산로를 정비하면서 원효암 앞에 있는 폭포 옆으로 나무 계단 등이 설치되어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