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200515
한자 錦山 大圓精舍
이칭/별칭 대원정사
분야 종교/불교,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건물
지역 충청남도 금산군 금산읍 비범3길 17[상리 45-11]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이행묵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이전 시기/일시 1982년 - 금산 대원정사 금산군 금산읍 상리 45-11로 이전
문화재 지정 일시 1995년 3월 6일연표보기 - 금산 대원정사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337호 지정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21년 11월 19일 - 금산 대원정사 문화재청고시 제2021-141호에 따라 문화재 지정 번호 삭제
현 소재지 금산 대원정사 - 충청남도 금산군 금산읍 비범3길 17[상리 45-11]지도보기
원소재지 금산 대원정사 - 충청남도 금산군 금성면 하신리 지도보기
성격 사찰
양식 겹처마 팔작지붕
정면 칸수 3칸
측면 칸수 2칸

[정의]

충청남도 금산군 금산읍 상리에 있는 조선 후기 사찰.

[위치]

금산 대원정사(錦山 大圓精舍)금산군 금산읍 상리 45-13번지에 있다.

[변천]

금산 대원정사는 조선 후기에 건립되었다. 본래 금산군 금성면 온양이씨어필각(溫陽李氏御筆閣) 근처에 있었으나, 일제 강점기에 현재 자리 인근으로 옮겼다가 1982년에 다시 지금의 위치로 옮겨 지었다.

[형태]

정면 3칸, 측면 2칸 규모이며, 내부에 우물마루를 깔고 중앙 뒤편에는 불단을 조성하였다. 건물의 구조는 기단 위에 93㎝의 초석을 놓고 그 위에 원형 기둥을 세운 뒤 지붕을 올렸으며, 지붕은 겹처마 팔작지붕이다. 전체적으로 조선 후기의 양식을 보인다.

[현황]

금산 대원정사는 1995년 3월 6일에 충청남도 문화재자료[현 충청남도 문화유산자료] 제337호로 지정되었다. 이후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청고시 제2021-141호 「문화재 지정[등록]번호 삭제 및 문화재명 표기 방식 변경 고시」에 따라 문화재 지정 번호가 삭제되었다. 내부에는 신음산 국사봉 아래 신안사(身安寺)에서 옮긴 비로자나불(毘盧遮那佛)이 봉안되어 있다. 금산 대원정사 뒤쪽에는 현대적 건축 양식을 한 정면 3칸, 측면 3칸 규모의 3층짜리 대웅전이 자리하고 있다.

[의의와 평가]

금산 대원정사는 금산군의 조선 후기 사찰 건축 양식을 보여 주는 문화재이다.

[참고문헌]
  • 『금산군지』 (금산군지편찬위원회, 2011)
  • 금산군청(https://www.geumsan.go.kr)
  • 국가유산청 국가문화유산포털(https://www.heritage.go.kr)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