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200499
한자 金濟龍碑
분야 역사/근현대,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비
지역 충청남도 금산군 금산읍 동산3길 22-4[하옥리 290-2]
시대 근대/개항기
집필자 이행묵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건립 시기/일시 1902년 - 김제룡비 건립
현 소재지 남산공원 - 충청남도 금산군 금산읍 동산3길 22-4[하옥리 290-2]지도보기
성격 순의비
관련 인물 김제룡(金濟龍)
크기(높이,너비,두께) 122㎝[높이]|45㎝[폭]|22㎝[두께]

[정의]

충청남도 금산군 금산읍 하옥리에 있는, 동학농민운동과 관련한 김제룡을 기리기 위해 건립한 개항기 순의비.

[개설]

1894년(고종 31) 동학농민운동(東學農民運動)이 발발하자 금산 지역에서는 수령과 아전을 지낸 정숙조(鄭䎘朝), 한홍규(韓弘圭), 정지환(鄭志煥) 등을 중심으로 동학군을 방어하기 위한 의병이 조직되었다. 김제룡은 퇴교(退校)로서 의병군에 참가하였고, 의병의 선봉장이 되어 동학군으로부터 금산 지역을 방어하다가 순절하였다.

[건립 경위]

김제룡비(金濟龍碑)는 1902년(고종 39)에 금산 지역을 지키다가 순절한 의사들의 순의비를 세우면서 건립하였다.

[위치]

김제룡비금산군 금산읍 하옥리 290-2번지 남산공원에 있다.

[형태]

높이는 122㎝, 폭은 45㎝, 두께는 22㎝이다.

[금석문]

전면에 ‘우초장행순무영군관김제룡지비(右哨長行巡撫營軍官金濟龍之碑)’라는 명문이 새겨 있다.

[현황]

김제룡비는 금산군의 남산공원 내에 같은 시기에 건립된 금산 하옥리 임한석비(錦山 下玉里 任漢錫碑), 정숙조 순의비(鄭䎘朝 殉義碑), 정지환 순의비(鄭志煥 殉義碑)와 함께 배치되어 있다.

[의의와 평가]

김제룡비는 1894년 당시 금산 지역을 둘러싼 동학 농민군과 의병군 사이의 전투, 특히 동학 농민군의 2차 봉기 시 10월에 벌어진 전투 상황을 자세히 보여 주는 자료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