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9200452 |
---|---|
한자 | 錦山 上里 碑石群 |
분야 |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
유형 | 유적/비 |
지역 | 충청남도 금산군 금산읍 상리 5-9 |
시대 | 조선/조선 전기,조선/조선 후기 |
집필자 | 이행묵 |
현 소재지 | 금산 상리 비석군 -
충청남도 금산군 금산읍 상리 5-9
![]() |
---|---|
성격 | 비석군 |
[정의]
충청남도 금산군 금산읍 상리에 있는 조선 시대 지방관의 비석군.
[개설]
금산 상리 비석군(錦山 上里 碑石群)은 금산향교(錦山鄕校) 앞에 있는 총 33기의 비석으로 대부분 17세기~20세기 초 금산 지역을 다스렸던 지방관의 선정비(善政碑)와 불망비(不忘碑), 애민비이다. 시기적으로는 19세기에 금산군수를 지낸 인물의 덕행과 선정을 기리는 비석이 가장 많다. 그 가운데 전라감사와 관련한 비석도 있는데, 조선 시대에는 행정 구역상 현재의 금산군 지역이 전라도에 속하였기 때문이다. 말에서 내려야 하는 지점을 표시한 하마비(下馬碑)도 확인된다.
[건립 경위]
금산 상리 비석군은 조선 후기 금산 지역을 다스렸던 군수 및 관찰사의 행적을 기리기 위해 건립되었다. 비석에 따라 건립 연도가 확인되는 것도 있으나 마멸이 심해 연대를 확인할 수 없는 비석도 있다. 가장 이른 시기에 건립된 비석은 금산군수 심희수(沈喜壽)를 기리기 위해 1607년(선조 40)에 세운 거사비(去思碑)이다.
[위치]
금산 상리 비석군은 금산군 금산읍 상리 5-9번지, 금산향교 앞쪽에 있다.
[형태]
비석은 받침돌과 몸돌로 이루어져 있으며, 머릿돌이 있는 경우도 있다.
[금석문]
확인 가능한 비명은 다음과 같다.
1. 행민치준영세불망비(行閔致駿永世不忘碑)
2. 관찰사서공상정청덕애민비(觀察使徐公相鼎淸德愛民碑)
3. 군수이후세면선정비(郡守李侯世勉善政碑)
4. 군수심후억애민선정비(郡守沈侯億愛民善政碑)
5. 군수이후덕린무휼군졸만세불망비(郡守李侯德鄰撫恤軍卒萬世不忘碑)
6. 군수서후유교영세불망비(郡守徐侯有喬永世不忘碑)
7. 군수송후종수거사비(郡守宋侯宗洙去思碑)
8. 행군수김후연근영세불망비(行郡守金侯淵根永世不忘碑)
9. 군수송후태희선정비(郡守宋侯泰熙善政碑)
10. 군수조후병립영세불망비(郡守趙侯秉立永世不忘碑)
11. 행군수이후봉소영세불망비(行郡守李侯鳳沼永世不忘碑)
12. 행군수윤후태원거사비(行郡守尹侯泰元去思碑)
13. 행군수오후석영영세불망비(行郡守吳侯錫泳永世不忘碑)
14. 군수송후준헌선정비(郡守宋侯準憲善政碑)
15. 관찰사이공규현영세불망비(觀察使李公奎鉉永世不忘碑)
16. 전군수심정승희수거사비(前郡守沈正丞喜壽去思碑)
17. 군수권후양청간애민선정비(郡守權侯讓淸簡愛民善政碑)
18. 군수이후신명청간애민선정비(郡守李侯頣命淸簡愛民善政碑)
19. 군수민후백흥영세불망비(郡守閔侯百興永世不忘碑)
20. 군수김공이안휼민거사비(郡守金公履安恤民去思碑)
21. 행구수조후철영거사비(行郡守趙侯徹永去思碑)
22. 군수조후헌영애민선정비(郡守趙侯獻永愛民善政碑)
23. 군수김후재현거사비(郡守金侯在顯去思碑)
24. 군수김후영응애민선정비(郡守金侯永應愛民善政碑)
25. 군수권후용식애민선정비(郡守權侯用直愛民善政碑)
26. 행군수정후숙조청덕애민선정비(行郡守鄭侯䎘朝淸德愛民善政碑)
27. 행군수민후치준영세불망비(行郡守閔侯致駿永世不忘碑)
28. 군수서후재우선정비(郡守徐侯載雨善政碑)
29. 대소인원개하마비(大小人負皆下馬碑)
[현황]
금산 상리 비석군은 금산향교 정문으로 들어가는 계단 앞쪽에 양옆으로 나열되어 있으며, 일부 비석은 계단 측면에 배치되어 있다.
[의의와 평가]
금산 상리 비석군은 조선 시대 금산 지역을 다스렸던 지방관의 활동을 보여 주는 유적이다. 여러 시기 및 형태의 비석들이 함께 보존되고 있는 만큼 가치가 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