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200145
한자 人蔘魚粥-
영어공식명칭 Insam Eojuk Village
분야 지리/인문 지리
유형 지명/도로와 교량
지역 충청남도 금산군 제원면 저곡리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김대은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9년 9월연표보기 - 인삼어죽마을 음식 특화 거리 지정
전구간 인삼어죽마을 - 충청남도 금산군 제원면 저곡리
해당 지역 경유 구간 인삼어죽마을 - 충청남도 금산군 제원면 저곡리 지도보기
성격 음식 특화 거리
길이 4.7㎞

[정의]

충청남도 금산군 제원면 저곡리에 있는 음식 특화 거리.

[명칭 유래]

금산 지역의 대표적 별미 중 하나인 인삼어죽은 옛부터 몸이 허약한 사람을 위해 특별히 만들어 먹었던 보양식이다. 금강 상류의 맑은 물에서 잡은 쏘가리, 메기, 잉어, 붕어, 빠가사리 등에 인삼을 넣고 푹 고아 수제비, 국수 등을 넣고 걸쭉하게 끓인 어죽은 비록 죽이지만 한 그릇 먹고 나면 온종일 든든하다. 민물고기를 중불에서 4~5시간 정도 푹 곤 다음 국물이 뽀얗게 우러나면 체에 걸러 가시를 발라 내고, 국물에 장을 풀어 간을 하고 쌀을 넣어 쑨 다음 애호박, 깻잎, 미나리, 풋고추에 인삼을 썰어 넣고 한소끔 더 끓이면 완성된다.

[제원]

인삼어죽마을은 총 길이는 4.7㎞로, 10여 곳의 식당이 모여 있다. 주 메뉴는 인삼어죽이며, 이외에도 민물매운탕, 도리뱅뱅이 등을 판매한다

[건립 경위]

금산인삼어죽은 금산군 제원면저곡리, 천내리, 용화리금강 일대 마을에서 발달한 음식이다. 입소문을 타고 알려지다가 어느 날 방송을 타면서 전국적으로 알려지게 되었다. 이후 인삼어죽을 주 메뉴로 취급하는 식당이 늘어나면서 인삼어죽마을이 조성되었다.

[변천]

2009년 9월 인삼어죽마을이 음식 특화 거리로 지정되었다.

[현황]

인근에는 제원면 소재지가 있으며, 마을 앞은 부엉산의 기암절벽과 부엉산을 적시며 흐르는 금강 여울목이 어우러진 경치가 빼어나다.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