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9200060 |
---|---|
한자 | 驛坪川 |
영어공식명칭 | Yeokpyeongcheon Stream |
분야 | 지리/자연 지리 |
유형 | 지명/자연 지명 |
지역 | 충청남도 금산군 남이면 역평리|하금리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최원회 |
전구간 | 역평천 - 충청남도 금산군 남이면 |
---|---|
해당 지역 소재지 | 역평천 -
충청남도 금산군 남이면 역평리|하금리![]() |
성격 | 하천 |
면적 | 21.76㎢ |
길이 | 3.5㎞[하천 연장]|7.21㎞[유로 연장] |
[정의]
충청남도 금산군 남이면 역평리에서 발원하여 하금리에서 봉황천으로 합류하는 하천.
[개설]
충청남도 금산군 지역에는 금강 본류가 흐르고, 금강 본류에는 여러 개의 지류 하천들이 유입되고 있다. 지류 하천들은 유역의 지질, 지형 등에 따라 규모가 다르다. 금강 본류와 지류 하천들은 대부분 금산분지 내부에서 하계망을 근간으로 크고 작은 유역을 형성하고 있다. 주민들은 예로부터 금강 본류 및 지류 하천 중·하류 유역의 충적지에서 주거, 농업 등의 삶을 이어 오고 있다.
[명칭 유래]
‘역평리(驛坪里)’라는 동리 이름에서 지명이 유래한 것으로 보이는데, 역평리는 조선 시대 제원역(濟原驛)의 말을 먹이던 곳이어서 역들이라 불렸던 마을로, 상역평·중역평·하역평이 있다.
[자연환경]
금산군 남이면 역평리의 가오리 북쪽과 육백고지산 북쪽 골짜기에서 발원하여 역평저수지를 만들고 동쪽으로 흐르다가 상역평을 지나며 남쪽으로 방향을 바꾼 후 중역평을 통과하고, 역평교 아래에서 대양천과 합류하여 다시 동쪽으로 흘러 하금리의 원하금 앞에서 봉황천에 유입된다.
북서-남동 방향의 지질 구조선을 따라 좁은 협곡을 형성하는데, 협곡의 주변에는 다양한 형태의 단애(斷崖)와 노출 암괴가 나타난다. 주변의 지질은 대부분 흑운모 화강암인데 반해, 단애가 있는 지역은 석영 반암이 국지적으로 분포하고 있다.
[현황]
하천 연장 3.5㎞, 유로 연장 7.21㎞이며, 유역 면적은 21.76㎢이다. 금산군 남이면 역평리의 발원지에서 남이면 하금리의 봉황천 합류 지점까지 곡류(曲流)하고 있다. 상류부에는 역평저수지가 축조되어 있다. 비교적 좁은 곡지(谷地)를 흐르고 있어서 범람원 충적지의 형성이 대체로 미약하다. 형성되어 있는 범람원 충적지는 대상(帶狀)을 이루고 있다. 하천 연변의 곳곳에는 마을이 입지해 있는데, 역평리의 상역평·중역평 등이다. 역평리의 상역평 주변은 주변의 삼림과 어우러져 경관이 아름답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