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출판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201032
한자 言論·出版
분야 문화·교육/언론·출판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개관)
지역 충청남도 금산군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김보미

[정의]

충청남도 금산군에서 방송과 신문·잡지, 출판 등의 매체를 통하여 사실을 전달하고 여론을 형성하는 활동의 총칭.

[개설]

언론이란 매체를 통하여 어떤 사실을 알리거나 어떤 문제에 대해 여론을 형성하는 모든 활동을 말하며, 출판은 문서·회화·사진 등의 저작물을 배포 및 판매의 목적으로 복제·공표하는 일을 가리킨다. 언론·출판을 중앙 위주의 활동으로 생각하기 쉬우나, 지역의 언론·출판 활동은 지역 성장에 매우 중요하다. “지역이 살아야 나라가 살고, 지역 언론이 살아야 지역이 산다”는 말처럼, 지역 사회에 필요한 정보 제공은 그 지역의 언론·출판이 다른 지역보다 더 잘할 수 있다. 현재 국내 여러 사정으로 지역 언론·출판의 성장이 힘들지만 이들의 역할과 기능을 잊어서는 안 된다.

[금산군 지역 신문]

지역 신문은 한국 사회 민주화 운동의 산물로 출발해 지방 자치 역사와 함께 성장하였다. 지역 신문은 주로 ‘우리 지역의 언론은 우리가 만들고, 우리의 힘으로 지방 자치를 이루어 나가자’라는 생각을 바탕으로 창간한다. 주로 지역 사회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지역 간 정보 격차를 해소하고, 지역민의 참여와 실천을 이끌어 낸다. 『제62회 금산통계연보』[2022]에 따르면 금산 내 신문사는 총 12사[주간지 6개, 인터넷 신문 6개]가 있다. 금산군의 가장 오래된 지역 신문은 『금산신문』으로 1989년 8월부터 발간하기 시작하였으며, 현재 인터넷 뉴스도 병행하고 있다. 또한 새로운 트렌드에 맞추어 2022년에 『금산투데이』가 창간하였다. 일반 주간지 및 인터넷 신문 외에도 관내 대학인 중부대학교의 학보와 월간 잡지 형태로 발간되는 『금산창뉴스』, 군 의회의 의정 소식지인 『의정소식』도 있다.

[금산군 지역 방송]

금산군은 산이 많은 지형으로 방송 여건이 열악하다. 2006년 기준 금산군의 방송 관련 시설은 총 4개소로 지상파 방송인 KBS 금산중계소와 케이블 방송인 한국케이블TV 충청방송, 그리고 지역 유선 방송인 제원유선방송과 인터넷 방송인 충청뉴스(GBC)가 있었으나, 2023년 현재는 한국케이블TV 충청방송만 남아 있다. KBS 금산중계소는 금산군의 라디오 수요가 증가하면서 설립되었으나, 라디오 이용이 감소하면서 2016년에 폐쇄되었다. 제원유선방송의 폐쇄 사유는 정확히 알 수 없으나, 뉴 미디어의 영향으로 수입이 악화되었기 때문으로 보인다. 충청뉴스(GBC)금산군청의 공무원들이 자체 힘으로 군정 뉴스와 홍보 영상, TV 속 금산, 금산 CF, 문화 현장 등 총 5개의 콘텐츠를 운영하였으나 현재는 운영하지 않으며, 유튜브에서 유사한 콘텐츠를 진행하고 있다. 한국케이블TV 충청방송은 종합 유선 방송사로, CMB에서 운영하고 있다. 지역에 맞는 콘텐츠를 운영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2023년 1월에 레인보우TV를 런칭하면서 지역 콘텐츠 개발에 힘쓰고 있다.

[금산군 지역 출판]

지역 신문이나 지역 방송에 대한 관심과 달리 지역 출판이 주목받기 시작한 지는 얼마 되지 않았다. 지역 출판은 지역 언론과 마찬가지로, 지역에서 만들어지는 지식과 정보를 책으로 엮어 지역의 지식을 축적하는 데 힘쓰고 있다. 부산광역시의 ‘산지니’와 충청남도 홍성군의 ‘그물코출판사’, 경상남도 통영시의 ‘남해의봄날’, 전북특별자치도 고창군의 ‘책마을해리’, 그리고 제주특별자치도의 ‘도서출판 각’이 그 예이다.

금산군에 지역 출판으로 등록된 업체는 총 29개소[『문화체육관광부 출판사·인쇄사 현황정보』[2023]]이다. 금산군에서 가장 오래된 출판사는 ALP 살림캠퍼스이다. ALP 살림캠퍼스는 ALP 삶의질향상센터와 금산지구별그림책마을을 운영하고 있다. 심천출판사는 ‘자신의 건강은 자신이 지켜라’라는 정신을 중심으로 사혈 요법과 관련한 도서를 출간하고 있으며, 다양한 식품을 판매하고 있다. 이외에 금산군에는 중부대학교 출판부와 북스테이션, 한국문학, 장보고, 간디학교출판사, 삼성애드피아, 도서출판 청진, 도서출판 숲개별꽃, 좋은사회, 정책홍보사, 도서출판 한고궁, 도서출판 별무리 등이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