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200915
한자 彌勒寺
영어공식명칭 Mireuksa Temple
분야 종교/불교
유형 기관 단체/사찰
지역 충청남도 금산군 복수면 동구들길 163[지량리 345]
시대 고대/삼국 시대/신라
집필자 이지송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건립 시기/일시 852년연표보기 - 미륵사 창건
중수|중창 시기/일시 1960년대 - 미륵사 중건
현 소재지 미륵사 - 충청남도 금산군 복수면 동구들길 163[지량리 345]지도보기
성격 사찰
창건자 무염

[정의]

충청남도 금산군 복수면 지량리 천비산에 있는 대한불교조계종 제6교구 본사 마곡사 소속 사찰.

[개설]

대한불교조계종 제6교구 본사인 마곡사(麻谷寺)의 말사이다. 지량리 천비산에 위치한 미륵사는 금산군의 전통사찰이다. 852년(문성왕 14)에 성주사를 창건한 명승으로 이름나 있는 승려 무염국사(無染國師)[800~888]가 세웠다는 설과 703년(성덕왕 2) 창건되었다는 설이 있다.

신라 시대에 창건된 사찰로 추정되나, 사찰 일대에서 발견되는 기와 및 마애불, 석조 등으로 볼 때 고려 시대를 중심으로 운영된 것으로 보인다. 1948년까지 대웅전, 칠성각, 산신각이 각각 1채 씩 남아 있었다고 전한다.

[건립 경위 및 변천]

852년(문성왕 14) 무염(無染)이 창건하였다. 무염은 보령에 성주사(聖住寺)를 창건하여 성주산파의 본산으로 삼고, 선법(禪法)을 전하기 위한 말사로서 미륵사를 창건하였다고 한다. 그 뒤의 자세한 역사는 전하지 않으나 1948년 이전까지는 대웅전·칠성각·산신각·요사채 등을 갖춘 사찰이었다고 한다. 1948년 대웅전이 불탄 뒤 소규모로 중건되었고 현재의 미륵사는 1960년경 박삼례 스님이 중건한 것이다.

대웅전 오른쪽의 산 능선 너머에 서쪽을 향하여 병풍처럼 펼쳐진 바위가 있다. 그 부근에 불두(佛頭) 및 석재가 흩어져 있어 절터로 추정되는데, 바로 이 일대가 본래의 미륵사가 아닌가 추정하기도 한다.

[관련 문화재]

고려 시대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되는 금산 미륵사 석조[충청남도 문화유산자료]가 있으며, 건물 뒤편에는 양감이 풍부하며 선각이 유려한 금산 미륵사 석조불두 및 마애불편 일괄[충청남도 유형문화유산]이 있다. 대웅전 내에는 통일 신라 말에 제작된 것으로 알려진 석가여래내상(釋迦如來來像)이 봉안되어 있으나 정확하지는 않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