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200621
한자 黃進
영어공식명칭 Hwang Jin
이칭/별칭 명보,무민공
분야 역사/전통 시대,성씨·인물/전통 시대 인물
유형 인물/문무 관인
지역 충청남도 금산군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황재영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550년연표보기 - 황진 출생
활동 시기/일시 1576년 - 황진 무과 급제
몰년 시기/일시 1593년연표보기 - 황진 사망
추모 시기/일시 1593년 - 황진 좌찬성 추증
묘소|단소 황진 묘 - 전라북도 남원시 주생면 정송리
사당|배향지 창렬사 - 경상남도 진주시 남강로 626
성격 무신
성별
본관 장수
대표 관직 충청도병마절도사

[정의]

1592년 임진왜란 당시 충청남도 금산군 이치에서 일본군을 물리친 조선 전기 무신.

[가계]

본관은 장수이고 황희(黃喜)의 5대손이다. 아버지는 생원 황윤공(黃允恭)이고 어머니는 남양 방씨(南陽 房氏)로 봉사 방응성(房應星)의 딸이다.

[활동 사항]

1576년 무과에 급제하여 선전관에 임명되었다. 1590년 종부 황윤길(黃允吉)의 종사관이 되어 통신사 일행으로 일본에 다녀왔으며 이때 전쟁이 일어날 것이라 보면서 보검 한 쌍을 사서 돌아왔다. 1591년 동복현감으로 임명되었는데 일을 끝내면 갑옷을 입고 말을 달리면서 무예를 익혔다. 일본군이 남원을 공격한다는 소식을 듣고 남원으로 갔다가 전주가 위급하다는 급보에 전주로 돌아와 안덕원에서 일본군을 물리쳤다. 이후 권율(權慄)을 따라서 이치(梨峙) 전투에 참가하였다. 황진권율에 의해 선봉장으로 임명되어 분전하였는데 조총을 맞고 기절하기에 이르렀으나 이치 전투에서 큰 승리를 거두었다. 그 공으로 1592년 황진은 익산군수 겸 충청도조방장에 제수되었다. 황진권율과 함께 이치 전투에서 가장 큰 공을 세운 인물이라 평가되었다. 1593년 충청도병마절도사가 되었으며 일본군이 진주를 공격할 때 진주성을 방어하기 위해 싸우다가 전사하였다.

[묘소]

묘소는 전북특별자치도 남원시 주생면 정송리에 있다.

[상훈과 추모]

1593년 찬성에 추증되었으며 진주의 창렬사(彰烈祠)에 배향되었다. 창렬사는 1607년 사액(賜額)을 요청하여 받은 이름으로 황진 외에도 1593년 진주성 전투에서 전사한 사람들을 배향하였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