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200538
분야 종교/유교,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건물
지역 충청남도 금산군 제원면 대산길 81-14[대산리 380]
시대 근대/개항기
집필자 이행묵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건립 시기/일시 1904년연표보기 - 대산사 건립
개축|증축 시기/일시 1966년 - 대산사 중수
이전 시기/일시 2008년 - 대산사 충청남도 금산군 제원면 대산리 380으로 이건
문화재 지정 일시 2011년 8월 16일연표보기 - 대산사 금산군 향토유적 제14호 지정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21년 11월 19일 - 대산사 문화재청고시 제2021-141호에 따라 지정 번호 삭제
현 소재지 대산사 - 충청남도 금산군 제원면 대산길 81-14[대산리 380]지도보기
성격 사당
양식 맞배지붕
정면 칸수 3칸
측면 칸수 1칸

[정의]

충청남도 금산군 제원면 대산리에 있는 개항기 사당.

[개설]

대산사영산 신씨(靈山 辛氏)의 문중 사당이다. 고려 후기 문신으로 충숙왕(忠肅王) 때 판밀직사사(判密直司事)를 지낸 덕재(德齋) 신천(辛蕆)과 경주판관·영남제찰사를 지낸 극재(克齋) 신인거(辛引裾), 그리고 고려가 멸망하자 천태산(天台山)에 은거한 응청당(凝淸堂) 신정(辛靖)을 배향하고 있다.

[위치]

대산사금산군 제원면 대산리 380번지에 있다.

[변천]

대산사는 1904년(고종 41)에 처음 창건하여 1966년에 중수하였고, 2008년에 영산 신씨 문중의 주도로 현재의 위치로 이건하였다.

[형태]

정면 3칸, 측면 1칸 규모의 사당이며, 지붕은 맞배지붕이다.

[현황]

대산사는 2011년 8월 16일에 금산군 향토유적 제14호로 지정되었으며, 매년 음력 3월 10일에 향사를 지낸다. 이후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청고시 제2021-141호 「문화재 지정[등록]번호 삭제 및 문화재명 표기 방식 변경 고시」에 따라 지정 번호가 삭제되었다.

[의의와 평가]

대산사는 고려 후기 문신을 배향한 사당으로서, 금산군 지역에 세거하는 영산 신씨 문중의 활동을 보여 주는 문화재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