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9200533 |
---|---|
한자 | 錦山 陰大里 世孝閣 |
영어공식명칭 | Geumsan Eumdaeri Sehyogak |
분야 | 종교/유교,문화유산/유형 유산 |
유형 | 유적/건물 |
지역 | 충청남도 금산군 남일면 금산로 475-4[음대리 179-2] |
시대 | 근대/일제 강점기 |
집필자 | 박기훈 |
건립 시기/일시 | 1919년![]() |
---|---|
특기 사항 시기/일시 | 1953년 - 금산 음대리 세효각 세효각비 건립 |
현 소재지 | 금산 음대리 세효각 -
충청남도 금산군 남일면 금산로 475-4[음대리 179-2]![]() |
성격 | 효자각 |
정면 칸수 | 2칸[좌측 비각] |
측면 칸수 | 1칸[좌측 비각] |
[정의]
충청남도 금산군 남일면 음대리에 있는 일제 강점기 효자각.
[위치]
금산 음대리 세효각(錦山 陰大里 世孝閣)은 금산군 남일면 음대리 179-2번지에 있다. 금산 충혼탑에서 직선거리로 약 100m 떨어져 있다.
[변천]
금산 음대리 세효각은 금산군 남일면 지역의 김해 김씨(金海 金氏) 가문에서 배출한 효자들을 함께 기리는 효자각으로, 1919년에 김해 김씨 문중에서 정려각과 효행비를 세웠다. 금산 음대리 세효각 앞에 세워 있는 ‘세효각(世孝閣)’이라고 적힌 비석[높이 250㎝, 너비 65㎝, 두께 23㎝]은 1953년에 김찬식이 건립하였다.
[형태]
비석 ‘세효각’을 중심으로 하여 좌측과 우측에 각각 비각이 있다. 좌측 비각은 정면 2칸, 측면 1칸으로 안에는 1919년에 세워진 ‘효자참판김해김공계희지비(孝子參判金海金公啓熙之碑)’, ‘효자오위장김해김공제민지비(孝子五衛將金海金公濟民之碑)’ 비석 2개가 있다. 우측에 있는 비각은 육각의 지붕을 한 특이한 형태로, 안에는 ‘효자김해김공제주지비(孝子金海金公濟珠之碑)’라고 새겨진 김계희의 증손인 효자 김제주(金濟珠)의 비가 세워 있다. 두 비각을 담장이 둘러싸고 있으며, 들어가는 문이 두 곳 있다. 우측 비각으로 들어가는 문에는 ‘흥효문(興孝門)’이라는 간판이 걸려 있다. 금산 음대리 세효각 밖에는 총 4개의 비석이 있다. 좌측부터 ‘북헌거사김공유적비(北軒居士金公遺蹟碑)’, ‘세효각’, ‘성봉김공공적비(星峰金公功績碑)’, ‘사인김공선배공적비(士人金公善培功績碑)’라 새겨진 비석이 순서대로 서 있다.
[현황]
금산 음대리 세효각은 금산 지역에 세거한 김해 김씨의 활동을 볼 수 있는 사당으로, 매년 10월 20일에 제사를 지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