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200474
한자 錦山 馬田里 胎峯 烽火臺
분야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유적(일반)
지역 충청남도 금산군 추부면 마전리 755-2
시대 고려/고려 후기
집필자 문경호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현 소재지 금산 마전리 태봉 봉화대 - 충청남도 금산군 추부면 마전리 755-2 지도보기
성격 봉화대

[정의]

충청남도 금산군 추부면 미전리와 대전광역시 동구 하소동 사이 만인산 정상에 있었던 고려 시대 봉화대.

[건립 경위]

금산 마전리 태봉 봉화대충청남도 금산군 추부면 요광리 매봉재에 있는 매봉 봉수[335.5m]에서 신호를 받아 금산군 진산면 엄정리 엄정마을에 있는 국사봉 봉수[496.4m]로 신호를 전달하기 위해 설치된 것으로 보인다.

[위치]

금산 마전리 태봉 봉화대만인산[537.1m]에 있었다. 대전광역시 동구 산내동에서 금산군으로 가는 길을 따라가다 보면 추부터널이 나온다. 터널을 중심으로 오른쪽 산이 만인산이고, 왼쪽 산이 정기봉이다. 만인산의 먹태재에 봉수대가 있었다고 한다. 만인산에는 조선 태조의 태실도 있다.

[현황]

금산 마전리 태봉 봉화대는 해체되어 형체를 찾아보기 어렵다. 만인산에 ‘봉수레미골’이라는 지명이 남아있는데, 봉수를 올린다는 의미의 ‘봉수내미골’이 변화한 것이라고 한다.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