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200470
한자 烽燧臺
영어공식명칭 Beacon Fire Station
분야 역사/전통 시대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충청남도 금산군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정규완

[정의]

충청남도 금산 지역에 있는 전근대 사회의 군사 통신 시설.

[개설]

봉수 제도는 긴급하거나 위급한 변방의 정보를 신속하게 중앙으로 전달하기 위해 연기와 불빛을 이용하여 먼 거리에서 신호를 전달하던 전근대 사회의 군사 통신 제도였는데, 삼국 시대부터 1895년(고종 32)까지 전근대 역사 속에서 중요한 군사 통신 수단으로 오랫동안 활용되었다. 변방의 급한 소식을 중앙에 알리기 위해 낮에는 연기를 이용하고, 밤에는 불빛을 이용하였다. 산지가 많은 금산 지역에도 통신 수단으로서의 봉수의 중요성이 컸기 때문에, 6개의 봉수대가 설치·운영되었다.

[봉수대]

봉수대는 중요한 소식을 신속하게 전달하는 역할을 하였다. 봉수가 본격적으로 사용되기 시작한 것은 고려 시대로 추정된다. 하지만 오늘날 남아있는 봉수대 유적은 대부분 조선 시대에 축조하여 활용했던 봉수대이다. 봉수대는 보통 주변 일대가 한눈에 보이는 전망 좋은 곳에 위치하였다. 봉수대의 운영과 관리는 서울의 경우 병조가 관할하였고, 지방에서는 각 수령이 근무와 지휘 책임을 가졌다. 조선의 봉수 조직은 설치 장소와 목적에 따라 경봉수(京烽燧), 연변봉수(沿邊烽燧), 내지봉수(內地烽燧), 권설봉수(權設烽燧) 등으로 나눌 수 있다. 봉수대의 일은 봉수군이 하였으며, 봉수군은 봉수대 인근에 기거하며 임무를 수행하였다. 봉수군은 근무 여건이 좋지 않고 힘든 일이었기 때문에 조선 전기에는 ‘신량역천(身良役賤)’에 해당하다가 점차 봉수군을 기피하자 조선 후기에는 양인을 임명하여 다른 역을 면제해주기도 하였다.

[금산의 봉수대]

금산 지역에도 봉수대 여섯 개가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금산의 봉수대 위치는 추부면 요광리 매봉재에 있는 매봉 봉수, 추부면 마전리 먹티재에 있는 만인산 봉수, 진산면 엄정리 엄정마을에 있는 국사봉 봉수, 진산면, 금성면, 금산읍의 경계에 있는 월봉산 봉수, 금산읍에 있는 진악산 봉수, 남이면 대양리 백암마을에 있는 백악산 봉수 등이다. 금산의 봉수대는 모두 내지봉수에 해당하며, 현재는 형태를 갖추고 있지 않지만, 봉수대의 흔적은 확인할 수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