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9200404 |
---|---|
한자 | 濟南學校 |
영어공식명칭 | Jenam School |
이칭/별칭 | 사립제남학교 |
분야 | 역사/근현대,문화·교육/교육 |
유형 | 기관 단체/학교 |
지역 | 충청남도 금산군 제원면 제원리 |
시대 | 근대/개항기 |
집필자 | 박범 |
개교 시기/일시 | 1908년 12월![]() |
---|---|
폐교 시기/일시 | 1909년![]() |
개교 시기/일시 | 1917년![]() |
개칭 시기/일시 | 1921년![]() |
최초 설립지 | 사립보통제남학교 -
충청남도 금산군 제원면 제원리
![]() |
성격 | 근대 사립 학교 |
[정의]
개항기 충청남도 금산군 제원면 제원리에 있었던 사립 학교.
[변천]
제남학교(濟南學校)는 1908년(순종 2) 12월 금산군 부북면 제원리[현 제원면 제원리]에서 사립보통제남학교로 설립되었다. 『금산군지』에는 1909년(순종 3)에 설립되었다고 기재되어 있으나, 당시 작성된 『대한매일신보』와 『호남학보』에 따르면 1908년에 설립된 것이 맞다. 당시 청년 50여 명을 모집하였다. 교장 박항래(朴恒來)와 교사 윤직구(尹稙求)가 학생들을 교육하였는데, 학교 운영난으로 1년 후 문을 닫았다. 『호남학보』에서 ‘제남학교사건’이 있었다고 기록하고 있으나 구체적인 내용은 알 수 없다. 『대한매일신보』를 보면 여러 광고 글이 올라 있는데, 금산군수 김우식이 제남학교 설립을 칭탁하면서 금산향교(錦山鄕校)의 토지를 전용하였다는 내용이 이를 가리키는 것이 아닐까 한다. 제남학교는 이후 1917년에 다시 문을 열게 되었으며, 1921년에 제원공립보통학교로 개편하여 개교하였다.
[교육 활동]
1909년 5월, 『대한매일신보』에 따르면 제남학교 박항래는 청년의 자제들에 대하여 권면하는 데 매우 힘을 쓰고 있었고, 자신의 아들처럼 사랑하였다고 한다. 또한 학생들의 취학(就學)을 위해 측량원(測量員)을 초빙하여 공유 산림을 측량하게 하였고, 이들과 협력하여 제남학교를 운영하다 보니 학생의 수가 80여 명까지 되었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