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9200201 |
---|---|
한자 | 濟原里 |
영어공식명칭 | Jewon-ri |
이칭/별칭 | 제원역,역말,역촌 |
분야 | 지리/인문 지리 |
유형 | 지명/행정 지명과 마을 |
지역 | 충청남도 금산군 제원면 제원리![]()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김지영 |
[정의]
충청남도 금산군 제원면에 있는 법정리.
[명칭 유래]
조선 시대에 제원도역(濟原道驛)이 있어 제원역, 제원 또는 역말, 역촌이라 하였다.
[형성 및 변천]
조선 시대에는 금산군의 부북면 지역이었다. 1895년(고종 32) 지방 관제 개편 때 공주부 금산군 관할이 되었고, 1896년 전라북도 금산군에 편제되었다. 1914년 3월 1일 행정 구역을 병합할 때 동일면의 13개 리, 부북면의 12개 리에 북일면 백운리 일부를 통합하여 제원면을 개설하고, 부북면 제원리 일부 지역을 합하여 제원면의 법정리인 제원리로 하였다. 1963년 1월 1일 지방 행정 체제 개편에 따라 금산군이 충청남도에 편입되어 충청남도 금산군 제원면 제원리가 되었다.
[자연환경]
제원리의 북쪽은 제원면의 명곡리와 구억리, 동쪽은 제원면의 대산리와 저곡리, 남쪽은 제원면 금성리, 서쪽은 제원면 명암리와 접한다. 제원리는 남쪽 부근의 봉황천을 기점으로 지형이 나뉜다. 봉황천은 북쪽에서 흘러오는 조정천과 만나며 금강에 합류하기 전 제원리에 넓은 들을 형성하였는데, 마루들과 장성들, 장승들 등이 그것이다. 서쪽 두루봉[233.7m]이 있는 지역은 대부분 야산 지역이다. 봉황천 남쪽은 소사봉[308.8m]에서 뻗은 산줄기가 산지를 형성하고 있다.
[현황]
2023년 10월 31일 기준 제원리의 면적은 2.24㎢이며, 256가구, 488명[남자 246명, 여자 242명]의 주민이 살고 있다. 행정리는 제원1리, 제원2리이며, 자연 마을로 남사, 암질, 역말[제원 또는 역촌] 등이 있다. 제원리 남쪽에서 국가지원지방도 제68호선이 동서 방향으로 지나가며 북쪽에서 내려오는 지방도 제601호선과 만난다. 제원리는 제원면의 행정과 교통의 중심지여서 제원면 행정복지센터, 제원우체국, 제원면문화센터, 제원면체육센터, 제원유선방송사, 제원농산물간이집하장, 충청남도농업기술원 인삼약초연구소, 한국전통가공식품공장 등이 자리한다. 교육 기관으로 제원초등학교가 있고, 문화 유적으로 금산 제원리 비석군(錦山 濟原里 碑石群), 세마지(世馬池), 어풍대(御風臺)[금산군 향토유적 제8호], 제원역 터[제원초등학교 자리]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