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9200136 |
---|---|
한자 | 紅桃- |
영어공식명칭 | Hongdo Village |
이칭/별칭 | 홍도화인삼마을,홍도팜스테이마을 |
분야 | 지리/인문 지리 |
유형 | 지명/행정 지명과 마을 |
지역 | 충청남도 금산군 남일면 신정리 홍도마을![]()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김대은 |
[정의]
충청남도 금산군 남일면 신정리에 있는 농촌 체험 관광 마을.
[개설]
홍도마을은 홍도화인삼마을, 홍도팜스테이마을로도 불린다.
[명칭 유래]
‘홍도(紅桃)’라는 지명은 복숭아나무와 연관이 있으며, 유래는 두 가지로 볼 수 있다. 마을의 지형이 홍도낙반형(紅桃落盤形)의 명당이라 하여 홍도리라고 불렀거나, 신선들이 사는 무릉도원같이 복숭아나무[紅桃]가 많아서 붙여진 이름으로 보인다.
[형성 및 변천]
『1872년 지방지도』 「금산군지도」에는 홍도리(紅桃里)라고 표기되어 있다. 1914년 행정 구역을 병합할 때 금산군 남일면의 홍도리와 원동리 등을 통합하여 남일면의 법정리인 신정리로 하였다. 1963년 지방 행정 체제를 개편할 때 충청남도 금산군 남일면 신정리가 되었다. 농촌 마을이었던 홍도마을은 1990년대 후반부터 비약적으로 발전하였다. 1997년에는 금산군농업기술센터에서 ‘농촌생활환경 시범촌’으로 지정하였고, 1998년에는 충청남도에서 ‘4,000만이 살고 싶은 마을’로 지정하였다. 2003년 금산군에서 ‘농촌전통테마마을’로 지정하였으며, 도농 교류 사업으로 금산을지병원과 1사 1촌을 체결하였다. 2004년 ‘농촌마을가꾸기 시상 대상’에 선정되었다. 2008년 4월 26일 제1회 홍도화축제를 개최하였다.
[자연환경]
홍도마을 뒤쪽으로 덕기봉[542m]과 마하산[558m] 등이 있으며, 마을 앞쪽으로 신정천이 흐른다. 마을 입구 4㎞ 구간에 1998년에 심은 3,200그루의 홍도나무가 서 있고, 홍도화동산에는 2009년 심은 4,300그루의 홍도나무가 늘어서 있다.
[현황]
2023년 10월 기준 홍도마을 안에는 홍도문화관과 홍도교회, 농산물 간이 집하장 등의 시설이 들어서 있다. 홍도마을에서는 매년 4월에 홍도화축제를 개최하는데,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하여 잠시 중단하였다가 2023년 4월 15일~16일 이틀간 ‘제13회 홍도화축제’를 개최하였다. 연간 약 1만~2만 명 정도의 관광객이 방문하며, 계절에 따라 금산인삼 캐기, 금산인삼주 만들기 등을 체험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