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200062
한자 柳等川
영어공식명칭 Yudeungcheon Stream
이칭/별칭 유천,유포천,버드내
분야 지리/자연 지리
유형 지명/자연 지명
지역 충청남도 금산군 진산면|복수면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최원회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전구간 유등천 - 충청남도 금산군 진산면~복수면
해당 지역 소재지 유등천 - 충청남도 금산군 진산면|복수면지도보기
성격 하천
면적 141.97㎢
길이 22.0㎞[하천 연장]|28.87㎞[유로 연장]

[정의]

충청남도 금산군 진산면 월봉산에서 발원하여 복수면을 거쳐 대전광역시 서구 둔산동에서 갑천으로 합류하는 하천.

[개설]

충청남도 금산군 지역에는 금강 본류가 흐르고, 금강 본류에는 여러 개의 지류 하천들이 유입되고 있다. 지류 하천들은 유역의 지질, 지형 등에 따라 규모가 다르다. 금강 본류와 지류 하천들은 대부분 금산분지 내부에서 하계망을 근간으로 크고 작은 유역을 형성하고 있다. 주민들은 예로부터 금강 본류 및 지류 하천 중·하류 유역의 충적지에서 주거, 농업 등의 삶을 이어 오고 있다.

[명칭 유래]

하천 변에 버드나무가 즐비하여 버드내라고 불렸다 하는데, 조선 시대에는 유포천(柳浦川)·유천(柳川) 등으로도 불렸다.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공주]에 “유포천은 유성현 동쪽 20리에 있는데 전라도 진산현 경계에서 발원한다”고 하여 관련 기록이 처음 등장하며, 『동국여지지(東國輿地誌)』에는 “유천은 일명 유포(柳浦)라고도 하는데 유성 폐현 동쪽 20리에 있다. 진산군 경계에서 발원하여 북쪽으로 흐르다가 용두촌에 이르러 대전천에 유입된다”고 하였다. 현재의 ‘유등천(柳等川)’이라는 명칭은 『1872년 지방 지도』[공주]에서 처음으로 확인된다.

[자연환경]

금강의 제2지류로서 금산군 부근에서는 대체로 감입 곡류하는 특징을 보이며, 하안 단구 및 사력퇴(砂礫堆)가 곳곳에 발달해 있다. 금강 권역의 금강 수계에 속하며, 금강의 제2지류이다. 금강의 제1지류는 갑천이다. 금산군 지역의 유등천 수계는 삼가천, 지방천 및 금성천으로 나뉘며, 지방천과 금성천은 삼가천에 비해 유로가 짧고 수량이 많지 않은 편이다.

금산군 진산면, 금성면, 금산읍남이면을 경계 짓는 월봉산 서쪽 골짜기에서 발원하여 북쪽으로 흐르며 진산면 내의 여러 작은 물길을 모으고 금산군 복수면에서 지방천을 합한 후, 시의 남쪽 침산동의 놋점골[鍮洞]을 지나 정생천, 구완천을 합류하면서 보다 큰 물길을 이룬다. 다시 북쪽으로 흐르며 안영동·복수동·산성동·유천동·도마동·용문동을 지나 서구 삼천동에서 대전천과 합류한 후 갑천에 유입된다. 유등천은 대전천과 갑천 사이를 흐르며 중구와 서구를 구분 짓는 경계 역할을 하는 하천이다. 발원지에서 금산군 복수면을 지나서 복수면 북측의 대전광역시 중구 경계까지의 구간은 대체로 북서-남동 방향으로 흐르면서 곡류(曲流)하고 있다.

[현황]

국가 하천 및 지방 2급 하천으로 나누어져 있으며, 유로 연장, 하천 연장 및 유역 면적은 각각 국가 하천이 44.4㎞, 15.53㎞ 및 289.14㎢, 지방 2급 하천이 28.87㎞, 22.0㎞ 및 141.97㎢이다. 금산군 복수면 구간은 대부분 산지 사면 사이에서 비교적 긴 유로에 좁은 하곡을 유지하면서 복수면 북부 구간에서는 범람원 충적지를 거의 형성하지 못하고, 복수면의 중부와 남부에서는 범람원 충적지를 크고 작은 규모로 형성하고 있다. 범람원 충적지가 비교적 큰 규모로 형성되고 있는 구간은 구례리 일대의 지방천과의 합류 지점이다. 범람원 충적지는 대부분 논으로 개발되어 있다. 하천 인근의 산지 완사면에서 인삼 재배가 이루어지고 있다. 하천의 곳곳에는 마을이 입지해 있는데, 지량리의 구만리·한우물·지량, 신대리의 맹치·발옥골·신대, 구례리의 선무동, 백암리의 분골, 수영리의 수영골, 곡남리의 온내 등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