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9200058 |
---|---|
한자 | 新亭川 |
영어공식명칭 | Sinjeongcheon Stream |
분야 | 지리/자연 지리 |
유형 | 지명/자연 지명 |
지역 | 충청남도 금산군 남일면 신정리|덕천리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최원회 |
전구간 | 신정천 - 충청남도 금산군 남일면 |
---|---|
해당 지역 소재지 | 신정천 -
충청남도 금산군 남일면 신정리|덕천리![]() |
성격 | 하천 |
면적 | 22.92㎢ |
길이 | 3.2㎞[하천 연장]|7.71㎞[유로 연장] |
[정의]
충청남도 금산군 남일면 신정리에서 발원하여 덕천리에서 봉황천으로 합류하는 하천.
[개설]
충청남도 금산군 지역에는 금강 본류가 흐르고, 금강 본류에는 여러 개의 지류 하천들이 유입되고 있다. 지류 하천들은 유역의 지질, 지형 등에 따라 규모가 다르다. 금강 본류와 지류 하천들은 대부분 금산분지 내부에서 하계망을 근간으로 크고 작은 유역을 형성하고 있다. 주민들은 예로부터 금강 본류 및 지류 하천 중·하류 유역의 충적지에서 주거, 농업 등의 삶을 이어 오고 있다.
[명칭 유래]
신정리(新亭里)라는 동리 이름에서 지명이 유래한 것으로 보이는데, ‘신정리’는 예전에 동구(洞口) 밖을 감싸고 있던 아름드리 고목(古木)들을 새로 단장하였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라고 한다. 마을 입지상 이들 정자나무숲은 개방된 동구를 보완하기 위해 조성된 마을 숲[비보림(裨補林)]이었을 것으로 짐작되는데, 아쉽게도 수십 년 전 마을 어귀에 논을 치면서 모두 베어 버렸다고 한다.
[자연환경]
금강 수계의 지방 하천으로 금강의 제2지류, 봉황천의 제1지류이다. 하천의 수계는 본류인 신정천과 지류인 신동천, 그리고 소하천인 원동천, 홍도천으로 이루어져 있다.충청남도 금산군 남일면의 신정리 남쪽 솔재[솔치] 북쪽에서 발원하여 북쪽으로 흐르다가 신정교 부근에서 신동천을 합하고 계속 북쪽으로 흘러 덕천리 앞에서 봉황천에 유입된다.
[현황]
하천 연장 3.2㎞, 유로 연장 7.71㎞이며, 유역 면적은 22.92㎢이다. 하천 유역의 모양은 나뭇가지 형태의 수지상(樹枝狀)이다. 하천 유역의 지형은 대부분 농경지 및 산지로 형성되어 있으며, 대체로 급한 유역 경사를 보인다. 하상 경사는 상류부 1/115, 중류부 1/126, 하류부 1/150 정도이다.
금산군 남일면 신정리 발원지에서 덕천리의 봉황천 합류 지점까지의 유로는 남북 방향으로 미약하게 곡류(曲流)하고 있다. 하천의 상류부에는 범람원 충적지의 형성이 미약하다. 중류부에는 범람원 충적지가 소규모로 형성되어 있고, 하류부에는 범람원 충적지가 비교적 대규모로 형성되어 있다. 이들 하류부의 범람원 충적지들은 상당 부분이 봉황천의 범람에 의한 것이다. 하류부 덕천리 일대의 범람원 충적지는 대부분 논으로 개발되어 있다. 하천 인근의 산록 완사면 일대에서는 인삼 재배가 이루어지고 있다. 하천 연변의 곳곳에는 마을들이 입지해 있는데, 신정리의 신정, 덕천리의 평대리 등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