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9201299 |
---|---|
한자 | - 陸地- |
영어공식명칭 | Island, Onshore |
분야 | 구비 전승·언어·문학/문학 |
유형 | 작품/문학 작품 |
지역 | 충청남도 금산군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김보미 |
[정의]
2017년 출간된 충청남도 금산군 출신 작가 이강산의 다큐 흑백 명상 사진 시집.
[개설]
『섬, 육지의』는 이강산이 대청호 동쪽 호숫가를 홀로 10여 년 동안 명상 기행을 하면서 찍은 풍경 사진을 담은 시집이다. 이강산의 네 번째 시집이면서 두 번째 사진집이다.
[구성]
대청호의 사계절을 촬영한 풍경 사진에 짧은 명상적 시편을 담았다. 총 141페이지로 구성되어 있으며, 애지에서 출간하였다.
[내용]
‘눈’, ‘꽃’, ‘비’, ‘바람’으로 나누어져 있다. 눈에는 「이 섬에서 내가 찍지 못한 사진」, 「말단」, 「이 섬에선 나도 초면이다」, 「파문」, 「사람꽃」, 「그냥」이 수록되어 있다. 꽃에는 「숲」, 「꽃병」, 「고요」, 「입춘」, 「봄」, 「나」가 수록되어 있다. 비에는 「백 년 동안의 고독」, 「섬」, 「이 섬에서 내가 찍지 못한 사진」, 「송화松花」, 「고추잠자리」가 수록되어 있다. 바람에는 「채송화」, 「고구마누룽지」, 「거울」, 「홀로」, 「누구든지 찾아가는 호수가 있다」가 수록되어 있다.
[특징]
『섬, 육지의』에 수록된 사진은 흑백 필름으로 촬영된 것으로 이강산이 추구하는 명상적 특징이 두드러진다. 표현에서는 방어와 역설적 인식이 돋보인다. 이강산은 산정에 올라 보이는 육지를 ‘바다’로, 그 바다에 떠 있는 호수를 ‘섬’으로 표현하였다.
[의의와 평가]
『섬, 육지의』는 이강산의 삶과 생각을 잘 녹여낸 작품이다. 이강산은 현재 아내와 요가 명상 공간을 운영하고 있는데, 『섬, 육지의』는 이강산의 삶에서 중요한 요소인 명상, 사진, 시를 모두 담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