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례리 산성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201298
한자 九禮里 山城
이칭/별칭 구례농성
분야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유적(일반)
지역 충청남도 금산군 복수면 구례리|백암리
시대 고대/삼국 시대
집필자 박초롱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현 소재지 구례리 산성 - 충청남도 금산군 복수면 구례리 지도보기|백암리지도보기
성격 산성
양식 편축식 산성

[정의]

충청남도 금산군 복수면 구례리백암리 사이에 있는 삼국 시대 산성.

[위치]

구례리 산성(九禮里山城)금산군 복수면구례리백암리 한가운데에 있다. 금산군 진산면 지방리복수면 구례리를 경계 지으며 그물처럼 형성되어 있다.

[형태]

표고 359m의 능선 정상부를 감싸며 형성되어 있다. 성벽은 가파른 지형을 이용하여 편축식으로 축조되었다. 성내 공간은 넓지 않지만, 건물 터 하나 정도의 평탄지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성내 곳곳에 집선문과 격자문이 타날되어 있고 안쪽에는 모골 흔적이 확인된 기와가 흩어져 있다. 문 터는 육안으로 확인되지 않지만, 지형으로 보아 주변 능선과 연결되는 북쪽과 남쪽에 각각 1곳씩 총 2개소가 존재하였을 것이다.

[현황]

구례농성(九禮農城)이라고도 부른다. 현재 구례리 산성의 성벽은 대부분이 파괴되어 그 흔적을 찾기 어려우나, 기와 조각 일부가 흩어져 있다.

[의의와 평가]

구례리 산성은 주변 높은 산맥의 능선과 이어져 있어 시계가 좋지 못하다. 그러나 북쪽과 남쪽으로 유등천(柳等川)을 중심으로 형성된 대전~진산 간의 교통로가 한눈에 들어와 대전~진산 간의 교통로를 조망하기 위한 산성임을 알 수 있다. 구례리 산성은 삼국 시대에 축조한 것으로 추정한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