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애소리」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201199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문화유산/무형 유산
유형 작품/민요와 무가
지역 충청남도 금산군 부리면 평촌리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유숙조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채록지 충청남도 금산군 부리면 평촌리 지도보기
가창권역 충청남도 금산군
성격 민요
기능 구분 농업 노동요
형식 구분 선후창
박자 구조 느린 3소박[3분박] 4박자와 3소박 5박자의 혼합박
가창자/시연자 양승환[80세, 남]|길준수[77세, 남]

[정의]

충청남도 금산군 부리면 평촌리에서 두벌매기할 때 부르는 농요.

[채록/수집 상황]

2011년 금산군지편찬위원회에서 발행한 『금산군지』2권의 435~436쪽에 수록되어 있다. 이는 당시 현지 조사를 통해 주민 양승환[80세, 남]과 길준수[77세, 남] 등으로부터 채록한 것이다.

[구성 및 형식]

「방애소리」의 가창 방식은 선후창이 지배적이다. 대개 느린 노래와 빠른 노래로 조합을 이루는데, 충청남도 금산군 부리면 평촌리에서는 「긴방애소리」와 「자진방애소리」, 「쌈싸는 소리」 등 세 단계로 부르고 있다. 후렴이 초장[오-, 오오-], 중장[헤헤-이, 에헤-, 에헤이하~, 하-], 종장[어어-허-어어, 어어-허허 또는 오오-호-, 오오-호]으로 구분된다고 하여 「삼장소리」[재벌매기]라고 한다. 마지막 부분에서 추수하여 방애[방아]를 찧는 소리를 경쾌하게 부르고, 「방애소리」가 끝나면 둘러앉아 밥을 지어 쌈을 싸는 동작을 하며 노래를 불렀다.

[내용]

「긴방애소리」

에헤잇 이야호 호오/ 산지 조종은 곤륜산이오/ 수지야 조종은 황해수라// 에헤잇 이야호 호오/ 산도 설고 물도 나 선디/ 누구를 믿고 나 여기 왔나// 에헤잇 이야호 호오/ 나는 간다 너 잘 있거라/ 오냐 춘향아 잘 있거라// 에헤잇 이야호 호오/ 가면 가고 말면은 말지/ 청산호로 내 아니 갈까// 에헤잇 이야호 호오/ 간디야마다 정 들여 놓고서/ 이별이 잦아 나 못 살겠네

초장 : 오오오 오호호오 오호

중장 : 에에에 어헤헤에 에헤헤이 하아 하아아

종장 : 어어어어어어어어허허어어허

「자진방애소리」

에헤라 방애요/ 이 방애가 뉘 방앤가/ 강태공의 조작 방애요/ 걸크덩 쿵더쿵 찧는 방아/ 언제나 다 찧고 밤마실 갈까// 에헤라 방애호/ 에헤라 쌈 싸네/ 무주군수는 곰담로쌈이요/ 금산운님은 해우쌈이요/ 우리야 농부는 상추쌈일레/ 북두칠성 행도라지고/ 요만조만 하행로 하세/ 우우우......

[생활 민속적 관련 사항]

초벌매기[「얼카산이야」]가 끝나고 10여 일이 지난 후 두벌매기[재벌매기]를 하는데, 이 때 노동의 피로를 덜고 능률을 높이기 위해 노래를 불렀다. 충청남도 지역의 「방애소리」는 아산, 천안 등의 동북 지역과 대전, 금산 등의 동남 지역에 많은 수가 분포하는 것으로 확인된다. 또한 후렴구의 가사에 따라 방아소리형과 방게소리형으로 구분되는데, 금산의 경우 방아소리형에 속하며 농사와 관련된 사설이나 방아와 관련된 사설이 주를 이루고 있다.

[현황]

「방애소리」는 충청남도 금산에서는 주로 논을 맬 때 부르지만 지역에 따라 모찌기, 도리깨질하기, 농사 뒤풀이하기, 땅 다지기 등을 할 때도 다양하게 불리며 금산 등의 동남 지역에 많은 수가 분포하는 것으로 확인된다. 다만, 가창자가 모두 고령인데다 부를 기회가 많지 않으므로 더 이상의 자연 전승은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의의와 평가]

민요 중에서도 그 지역의 개성적 성격이 잘 드러나는 장르가 「모심는 소리」와 「논매기소리」인데, 금산 지역의 대표적인 「논매기소리」가 바로 「방애소리」이다. 「방애소리」는 전국 각지에서 연원되었으나, 「삼장소리」 즉 초장, 중장, 종장으로 구분된다는 점에서 다른 지역의 민요와 차이점을 가진다. 또한 다른 지역에 비해 유장한 가락이 특징이다. 「방애소리」부리면 뿐만 아니라 군북면 등 동부 금산군에 분포하며, 제원면이나 남일면 등지에서도 그 흔적을 엿볼 수 있다.

[참고문헌]
  • 『금산군지』 2·3(금산군지편찬위원회, 2011)
  • 이소라, 『금산의 민요』(금산문화원, 2015)
  • 문화포털(https://www.culture.go.kr)
  • 지역N문화(https://www.nculture.org)
  • 한국민속대백과사전(https://folkency.nfm.go.kr)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