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9201154 |
---|---|
한자 | 洑- |
분야 | 생활·민속/생활 |
유형 |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
지역 | 충청남도 금산군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강성복 |
[정의]
충청남도 금산 지역에서 보를 이용하는 몽리구역의 작인들이 해마다 봇도랑을 정비하는 공동 작업.
[개설]
보(洑)는 논에 물을 대기 위하여 흐르는 시냇물을 막고 수로를 내어 연결한 수리 시설이다. 보의 관리와 운영은 몽리구역(蒙利區域)[수리 시설에 의해 농사에 혜택을 입는 구역] 작인들의 수리계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보통이다. 작인의 수가 많은 보는 대체로 30~50명이 속해 있지만, 소규모의 보는 5~6명이 하나의 조직을 구성하기도 한다. 금산에서 보를 관리하는 역원을 감관(監官) 또는 봇주라고 한다. 감관은 개개의 보에 따라 임기를 정하기도 하지만 한 번 추대를 받으면 특별한 사유가 없는 한 그 직을 계속 유지한다. 주된 임무는 평소 보의 관리와 날이 가물 때 ‘팻물[차롓물]’의 분배를 감독하는 일이다. 이를 위해 감관은 농번기가 시작되기 전에 보를 막고 봇도랑을 정비하는 공동 작업을 주관한다.
[내용]
보매기란 보를 이용하는 몽리구역의 작인들이 매년 울력을 내어 보와 수로를 공동으로 정비하는 작업이다. 보매기는 본격적인 논농사를 앞둔 3월 말이나 4월 초에 시작된다. 가령 금산군 남일면 초현리의 경우 첫 보매기가 이루어지는 날 출역일(出役日)을 정하는 ‘군’의 기준 면적, 군을 초과하는 면적을 보유한 농가에서 부담하는 ‘마루매기’, 보매기에 불참한 자의 벌금 등을 결정한다.
‘군’이란 보매기 출역일의 기준이 되는 각 농가의 몽리면적을 일컫는다. 군의 기준을 정하는 이유는 보를 이용하는 작인마다 논의 면적이 다르기 때문이다. 금산군 남일면 초현리에서는 두락(斗落)[마지기]으로 군의 면적을 정하는데, 대개 1~2마지기[200~400평]를 기준으로 설정한다. 가령 어느 보에서 정한 군이 2마지기라고 하면, 그 미만의 논을 경작하는 농가는 보매기가 있을 때마다 한 사람의 품을 내면 된다. 반면에 기준 면적 이상의 논을 보유한 농가는 보매기 외에 군을 초과하는 면적에 대하여 그에 상응하는 술 또는 돈으로 납부해야 한다. 이를 ‘마루매기[마루먹이]’ 또는 ‘마리매기’라 한다. 마루매기는 술값을 기준으로 책정되었다. 즉 보에서 정한 군보다 초과하는 면적은 한 마지기당 탁주 1~2되로 하되 그해 술값으로 금액을 산정하여 부과하는 것이다. 또한 기준 면적보다 훨씬 초과하는 면적을 경작하는 지주는 마루매기와는 별도로 보매기 때 새참을 내는 것이 관례로 되어 있다. 마루매기는 작인들의 사정에 밝은 감관이 순번을 정하여 미리 통지해 주면 보매기 당일 차례가 닿은 농가에서 술과 음식을 준비한다.
금산 지역에서 전승되는 보매기의 종류는 ‘해장보매기’, ‘낮보매기’, ‘참보매기’로 구분된다. 해장보매기는 아침을 먹기 전에 잠시 나와 보를 수리하는 작업으로 일명 ‘식전보’ 또는 ‘해장보’라고 한다. 반면에 낮보매기는 아침 식사 후 한나절 또는 진종일 보를 정비하는 것이고, 참보매기는 갑자기 비가 내려 봇도랑이 막히거나 터져서 급히 보수하는 작업을 일컫는다. 이처럼 긴급한 일이 발생하면 전체 구성원들에게 통보할 시간적인 여유가 없으므로 이를 발견한 사람과 동원 가능한 몇몇 작인들이 보를 수리하게 된다. 보매기는 보에 딸린 모든 구성원들이 의무적으로 출역하는 것이 관례이다. 따라서 불참자는 그에 상응하는 벌금을 부과하되 작업 시간이 짧은 참보매기와 해장보매기는 벌금을 물리지 않는다.
[특징 및 의의]
보를 매개로 성립된 보매기는 1990년대 이후 서서히 변모하기 시작했다. 무엇보다 내구성이 강한 시멘트 보의 등장과 경지 정리로 한층 안정적인 토대 위에서 농업용수의 이용이 가능해졌다. 이에 따라 소규모의 보는 수리 시설의 기능을 상실하거나 인접한 보에 흡수되었다. 특히 대규모 저수지 축조와 관정 등 관개 시설의 확충은 전통적인 보의 기능을 크게 축소시켰다. 이에 따라 보 단위로 성립된 작인들의 수리 공동체는 해체되거나 사실상 유명무실해진 상태이다. 아울러 매년 전승되던 보매기와 가뭄 극복을 위한 수리 문화 전통은 더 이상 전승력을 유지하기 어렵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