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200841
한자 貯水池
영어공식명칭 Reservoir
분야 정치·경제·사회/경제·산업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충청남도 금산군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홍성효

[정의]

충청남도 금산군에 있는 농업 기반 시설로서의 저수지.

[개설]

저수지는 유수(流水)를 저장하여 필요한 때에 사용할 수 있게 하는 인공 시설로서 하천에서 충분한 용수를 확보할 수 없을 때 중요한 지표수 용수원(用水源)이다. 시설비가 비싸고 수질이 떨어지는 결점은 있으나, 풍부한 수량을 확보할 수 있고 수온도 흐르는 물보다 높은 경우가 많아 농업용수로서 유리하다. 또한 관광 용지로도 개발할 수 있는 다목적성을 띤다. 하천 다음으로 중요한 지표수 용수원이다.

[현황]

한국농어촌공사가 관리하는 농업 기반 시설로서 저수지는 전국적으로 3,421개이며, 이 가운데 충청남도 금산군에 있는 저수지는 9개이다. 9개 저수지는 화림저수지, 홍도저수지, 신동저수지, 청림저수지, 지동저수지, 장산저수지, 동곡저수지, 숭암저수지, 석동저수지이다.

9개 저수지의 전체 유역 면적[하천 또는 수로의 임의 지점에서, 또는 호소, 저수지 등이 강수로 인한 지표 유출을 받는 면적]은 3,443㏊, 홍수 면적[홍수위 시 저수지 수면 면적]은 82㏊, 만수 면적은 84㏊, 수혜 면적[배수 사업이나 관개 사업이 이루어지는 지역에서 이러한 사업에 의해 혜택을 받는 면적]은 715㏊이다. 제체[제방] 형식은 9개 저수지 모두 필댐(fill dam)[존형. 제체의 재료가 암석, 자갈, 토사 등으로 이뤄진 댐]으로, 제체 체적은 58만 7680㎡, 제체 길이는 1,168m, 제체 높이는 159m, 총저수량은 568만 8000㎥, 유효 저수량은 555만 7000㎥이다. 취수 형식은 동곡저수지석동저수지가 취수탑형[저수지의 물을 취수하기 위해 수문 또는 밸브를 설치한 탑 모양의 구조물]이고 나머지는 사통형이다.

[참고문헌]
  • 공공데이터포털(https://www.data.go.kr)
  • 네이버 지식백과(https://terms.naver.com)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