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9200863 |
---|---|
한자 | 錦山郡保健所 |
영어공식명칭 | Geumsan Health Center |
분야 | 정치·경제·사회/사회·복지 |
유형 | 기관 단체/기관 단체(일반) |
지역 | 충청남도 금산군 금산읍 금산로 1559[중도리 203-1]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장종안 |
설립 시기/일시 | 1951년 10월 10일![]() |
---|---|
개칭 시기/일시 | 1959년 1월 1일![]() |
개칭 시기/일시 | 1963년 1월 1일![]() |
관련 사항 시기/일시 | 1984년 9월 1일 - 금산군보건소 모자보건센터와 통합하여 신축 이전 |
이전 시기/일시 | 2004년 6월 24일 - 금산군보건소 충청남도 금산군 금산읍 중도리 203-1 금산다락원 건강의 집으로 이전 |
관련 사항 시기/일시 | 2018년 12월 11일 - 금산군보건소 금산군치매안심센터 개소 |
현 소재지 | 금산군보건소 -
충청남도 금산군 금산읍 금산로 1559[중도리 203-1]![]() |
성격 | 의료 기관 |
전화 | 041-750-4301 |
홈페이지 | 금산군보건소(https://www.geumsan.go.kr/health/) |
[정의]
충청남도 금산군 금산읍 중도리에 있는 공공 보건 의료 기관.
[설립 목적]
금산군 지역의 질병 예방 활동, 예방 접종, 보건 민원 처리와 진료, 방문 보건 등의 사업 수행을 통하여 지역 주민의 건강을 증진하고, 보건 행정의 합리적 운영을 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변천]
1951년 10월 10일 금산군보건진료소로 발족하여 1959년 1월 1일 전북도립 금산군보건소로 개칭하였다. 1962년 9월 24일 「보건소법」이 공포[법률 제1160호]되어 1963년 1월 1일 충청남도 금산군보건소가 설치되었다. 1984년 4월 2일 모자보건센터 설립 지역으로 지정되어 1984년 9월 1일 금산군보건소와 모자보건센터가 통합하여 신축 이전을 하였다. 2004년 6월 24일 현 위치인 금산다락원 건강의 집으로 이전하였다. 2018년 12월 11일 금산군치매안심센터를 개소하여 지금에 이르고 있다.
[주요 사업과 업무(활동 사항)]
금산군보건소는 국민 건강 증진, 보건 교육, 영양 관리 및 구강 건강, 감염병의 예방 관리 및 진료, 모자 보건 및 노인 보건 사업, 공중위생 및 식품 위생 사업, 의료인 및 의료 기관에 대한 지도, 응급 의료와 약사에 관한 사항, 마약·향정신성 의약품 관리, 정신 보건, 지역 주민의 보건 의료 증진 및 이를 위한 연구 등에 관한 업무를 수행한다. 특히 금산군건강생활지원센터, 아토피자연치유마을, 산꽃마을자연치유센터를 운영함으로써 금산군 보건 행정과 군민의 건강에 관한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현황]
공공 의료 기관인 금산군보건소는 보건소장 아래 보건행정과와 예방관리과 2과가 있다. 보건행정과 내에는 보건행정팀, 의약관리팀, 보건의료팀, 보건의료팀, 건강증진팀, 모자보건팀, 방문보건팀, 건강생활팀, 지역보건팀 등 8개 팀이 있다. 예방관리과 내에는 감염병관리팀, 감염병대응팀, 정신건강팀, 치매안심팀 등 4개 팀이 있다. 보건 지소 9곳과 보건 진료소 9곳을 두고 있다. 금산군건강생활지원센터, 아토피자연치유마을, 산꽃마을자연치유센터를 두고 있다.
[의의와 평가]
금산군보건소는 지역 주민에게 질 높은 보건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지속해서 노력하고 있으며 현대적 의료 장비를 보강하여 저렴한 진료비 및 양질의 진료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지역 주민의 건강 증진을 위하여 노력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