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9200862 |
---|---|
한자 | 保健 醫療 |
영어공식명칭 | Health and Medical Treatment |
분야 | 정치·경제·사회/사회·복지 |
유형 |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
지역 | 충청남도 금산군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장종안 |
[정의]
충청남도 금산군 주민의 신체적, 정신적 및 사회적 건강 유지와 증진을 위해 하는 제반 활동.
[개설]
금산군의 보건 의료는 보건소를 중심으로 공중 보건 및 보건 관련 사업을 하는 공적 영역과 병의원, 한의원, 치과 의원, 약국 등의 사설 의료 기관을 중심으로 하는 민간 영역으로 나눌 수 있다.
[변천]
금산군보건소는 1951년 10월 10일 금산군보건진료소로 발족하였다. 1959년 1월 1일 전라북도 금산군보건소로 개칭하였고 1963년 1월 1일 충청남도 금산군보건소가 설치되었다. 1984년 4월 2일 모자보건센터 설립 지역으로 지정되어 9월 1일 모자보건센터와 통합하여 신축 이전을 하였다. 2004년 6월 24일 현 금산다락원 건강의 집으로 이전하였다. 2018년 12월 11일 금산군치매안심센터를 개소하였다. 민간 의료원 제중의원이 1963년 4월 4일 개원하였고, 2012년 6월 4일 폐원하였다. 숲속한의원이 2020년 3월 25일에 개원하였고, 2022년 11월 1일 폐원하였다.
[현황]
금산군의 보건 의료 기관 중 공공 의료 기관으로는 금산읍에 보건소 1개와 읍면별 보건 지소 9개, 보건 진료소 9개를 운영하고 있다. 각 읍면 보건 지소는 내과와 한의과를 운영하는데 추부면만 한의과가 없이 운영하고 있다.
금산군은 금산군민의 만성 질환 예방과 건강한 생활 습관 형성을 지원하기 위하여 금산군건강생활지원센터를 운영하면서 맞춤형 건강 관리, 여가 프로그램 운영, 만성 질환 관리, 지역 사회 건강 조사, 금연 절주 사업 등 보건 사업을 하고 있다. 친자연 환경을 활용하여 환경성 질환인 아토피, 천식 환자 가족의 이주 및 치료를 목적으로 아토피자연치유마을을 운영하고 있다. 과학적 근거에 기반한 환경성 질환 예방 관리 체계를 구축하고 환경성 질환 발생 및 악화 방지로 삶의 질을 향상하기 위해 산꽃마을자연치유센터를 운영하고 있다.
금산군 10개 읍면 중 민간 의료 기관인 병원은 4곳으로 새금산병원, 금산효사랑요양병원, 편안요양병원, 새금산요양병원이 있다. 새금산병원을 포함한 병의원 64곳, 요양 병원 3곳, 치과 10곳, 한의원 17곳의 민간 의료 시설이 있다. 민간 의료 기관에 종사하는 인력은 의사 46명, 치과 의사 10명, 한의사 21명, 약사 3명, 간호사 68명, 간호조무사 188명, 의료 기사 73명, 의무 기록사 3명이다. 산부인과로는 조산부인과 1곳이 있다. 약국은 총 37개가 있는데 추부면에 있는 6곳과 진산면에 있는 1곳을 제외하고 전부 금산읍에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