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9200828 |
---|---|
한자 | 錦山水蔘- |
분야 | 정치·경제·사회/경제·산업 |
유형 | 지명/시설 |
지역 | 충청남도 금산군 금산읍 인삼약초로 24[중도리 24]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홍성효 |
개관|개장 시기/일시 | 1973년 10월![]() |
---|---|
이전 시기/일시 | 1988년 9월 5일 - 금산수삼센터 충청남도 금산군 금산읍 중도리 24로 이전 |
관련 사항 시기/일시 | 1992년 - 금산수삼센터 별관 증축 |
최초 설립지 | 금산수삼센터 - 충청남도 금산군 금산읍 중도리 |
현 소재지 | 금산수삼센터 -
충청남도 금산군 금산읍 인삼약초로 24[중도리 24]![]() |
성격 | 시장 |
면적 | 11,160㎡[대지]|6,674㎡[건물] |
전화 | 041-754-3161 |
[정의]
충청남도 금산군 금산읍 중도리에 있는 수삼을 전문으로 취급하는 시장.
[개설]
2019년 기준 금산군 내에는 9곳의 시장[등록 시장, 인정 시장, 상점가]이 있다. 통상 시장은 광의적으로 등록 시장과 인정 시장으로 구분하고 대형 마트[할인점], 전문점, 백화점, 쇼핑센터, 복합 쇼핑몰 등을 포함한다. 금산군 내에는 등록 시장[6개소], 인정 시장[2개소], 상점가[1개소], 기타 대규모 점포[1개소]가 있다. 등록 시장, 인정 시장, 상점가 내 점포 수는 890개이다.
금산군 금산읍에 9개의 시장이 있고, 추부면에 1개의 시장이 있다. 건물 연면적은 6만 4368㎡이며, 이 가운데 금산군 금산읍에 있는 시장이 6만 3333㎡를 차지한다. 판매 면적은 전체 3만 3078㎡이며, 이 중에서 3만 2043㎡가 금산군 금산읍에 있는 시장의 판매 면적이다.
[건립 경위]
1973년 10월 충청남도 금산군 금산읍 중도리 소전다리 옆에 수삼 판매를 주축으로 하는 금산수삼센터가 설립되었다.
[변천]
인삼과 약초는 상호 보완적인 관계로 인삼과 더불어 약재의 판매가 함께 이루어지기 때문에 금산수삼센터의 설립으로 금산읍 내 지역에 산재하던 약초 상인들이 금산수삼센터 주변으로 이동하기 시작하였다. 1988년 9월 5일 서울올림픽 개최와 더불어 인삼의 홍보와 판매를 위해 현재의 위치[충청남도 금산군 금산읍 중도리 24번지]로 이전하였다. 1992년 과거에 수삼 도매 시장으로 사용되던 별관 1층을 2층으로 증축하여 생약 전문 시장을 개설하였다.
[구성]
금산수삼센터는 전국 최대의 수삼 유통지로 도매 시장, 소매 시장, 생약 시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규모는 대지 1만 1,160㎡, 건물 6,674㎡이다. 점포 수는 전체 174개소로 이 가운데 도매 점포는 41개, 소매 점포는 92개, 생약을 취급하는 점포는 26개, 그 외 일반 점포는 15개이다. 규모는 전통 시장 분류상 중형 시장에 해당하며, 소유 관리상 법인 시장이다.
[현황]
금산수삼센터의 1시일 거래량[시장이 열리는 하루 평균 거래량]은 85톤으로 30억 7000만 원이고, 이를 연간 수치로 환산하면 거래량은 6,130톤이고 거래 금액은 1513억 원이다. 개장 시간은 오전 8시부터 오후 6시까지이다.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 전통시장통통에서 검색한 결과[2023년 6월 18일]에 따르면, 전체 점포 수는 293개이며, 이 가운데 3개 점포가 빈 점포이다. 285명이 회원으로 가입된 상인회가 있으며, 상인회는 「전통시장 및 상점가 육성을 위한 특별법」상 등록 상인회로서 상근 직원은 6명이다. 편의 시설은 고객 안내 센터, 고객 휴게실, 고객 주차장을 갖추고 있으며, 홍보 시설은 이벤트 광장과 공용 광고판을 갖추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