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200706
한자 宋哲|宋喆
이칭/별칭 송휘규(宋彙圭)
분야 역사/근현대,성씨·인물/근현대 인물
유형 인물/의병·독립운동가
지역 충청남도 금산군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
집필자 김기성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896년 1월 23일연표보기 - 송철 출생
활동 시기/일시 1916년 - 송철 미국 망명
활동 시기/일시 1929년 - 송철 대한인동지회 북미총회 재무 선출
활동 시기/일시 1941년 - 송철 재미한족연합위원회 로스앤젤레스집행부 집행부위원 선출
활동 시기/일시 1943년 4월 - 송철 대한인동지회 북미총회 기관지 『북미시보』 발행
활동 시기/일시 1945년 7월 - 송철 제1회 대한인동지회 미국대표대회 참석
활동 시기/일시 1962년 3월 5일 - 송철 한인센터[Korea Community Center] 건립
활동 시기/일시 1985년 - 송철 『송철 회고록-미주 이민사와 동지회의 생생한 증언』 출간
몰년 시기/일시 1986년 2월 27일연표보기 - 송철 사망
추모 시기/일시 1994년연표보기 - 송철 건국훈장 애국장 추서
학교|수학지 전주신흥중학교 -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서원로 399
학교|수학지 영명학교 - 전라북도 군산시 경기장로 142
묘소 잉글우드 파크 묘지(Inglewood Park Cemetery) - Inglewood Park Cemetery, 720 East Florence Avenue, Inglewood, California, USA.
성격 독립운동가
성별
대표 경력 대한인동지회 미국대표대회 몬타나지방 대표

[정의]

일제 강점기 충청남도 금산 출신 독립운동가.

[가계]

송철(宋哲)[1896~1986]은 1896년 1월 23일 지금의 충청남도 금산군에서 태어났다. 송철(宋喆) 혹은 송휘규(宋彙圭)라는 이명을 사용하였다. 송철의 아버지는 송학운(宋學運), 어머니는 파평 윤씨 사람이며, 7남매 중 3남이다. 부인은 로즈 송(Rose Song)이고, 아들로 레오 송(Leo Song), 유진 송(Eugene Song), 게리 송(Gary Song)을 두었다.

[활동 사항]

송철금산 심광학교(心光學校), 전주 신흥중학교(新興中學校), 군산 영명고등학교(永明高等學校)를 다녔다. 신흥중학교 재학 시절인 1911년 이승만(李承晩)[1875~1965]의 강연에 큰 감명을 받았다고 한다. 1914년에는 모교인 신흥중학교에서 교편을 잡았다. 1916년 상하이를 거쳐서 미국으로 망명한 뒤 패서디나(Pasadena)에 있는 폴리텍(Polytech) 고등학교를 졸업하였다. 이어 UC 캘리포니아에서 수학하였으며, UCLA와 UC 버클리에서 전기공학을 전공하였다. 또한 김용중과 함께 김송위탁판매소[K&S Jobbers]를 설립하여 운영하였다.

1921년 이승만이 주도하던 대한인동지회(大韓人同志會)에 가입하여 활동하면서 본격적으로 독립운동에 투신하였다. 당시 이승만은 국내 광주학생운동을 계기로 고조된 민족 운동의 붐을 다시 일으키기 위해 침체된 동지회를 부흥시키고자 하였다. 이러한 분위기 속에서 1929년 ‘대한인동지회 북미총회’가 결성되자 이살음(李薩音)·임병직(林炳稷) 등과 같이 LA 대표로 참석하였고, 재무로 선출되어 재정 업무를 담당하였다. 1930년에 일시 귀국을 하기도 하였다.

1940년대에 들어 미주 한인들 사이에서는 광복을 위해 협력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졌다. 그 결과 1941년 4월 20일 미국에서 활동하는 여러 한족 단체가 연합하여 하와이 호놀룰루에서 해외한족대회를 열고 재미한족연합위원회가 결성되었다. 이때 송철은 총 14명의 집행부 위원 가운데 한 명으로 선출되었다. 1942년 2월에는 재미한족연합위원회 국방과에서 한인 지원병을 모집하여 경위군(警衛軍)[일명 맹호군(猛虎軍)]을 만들자, 참위(參尉)로 주계과(主計科)를 맡아 재정 문제를 담당하였다. 1943년 4월 대한인동지회 북미총회 회관을 마련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하였고, 기관지 『북미시보(北美時報)』 발행에도 참여하였다. 1944~1945년에는 3회에 걸쳐 3백 원의 독립 자금을 출연하였다. 1945년 7월 1일 열린 제1회 대한인동지회 미국대표대회에는 몬타나지방 대표로 참석하였다.

해방 이후에는 이승만의 정치 활동을 후원하였으며, 1956년 5월에는 한국을 방문하여 경무대에서 이승만 대통령을 면담하기도 하였다. 동시에 북미 지역 한인들의 결속과 권리를 위한 활동에 주력하여 1962년 3월 5일 한인회관의 전신인 한인센터[Korea Community Center] 건립에 앞장섰고, 1965년에는 회장을 역임하였다. 1972년에는 남가주한국학원[Korean Institute of Southern California]의 전신인 무궁화학원을 설립하기도 하였다. 1986년 2월 27일에 사망하였다.

[저술 및 작품]

송철은 1985년 『송철 회고록-미주 이민사와 동지회의 생생한 증언』을 출간하였다.

[묘소]

송철의 무덤은 미국 캘리포니아의 잉글우드 파크 묘지(Inglewood Park Cemetery)에 있다.

[상훈과 추모]

송철은 1994년 정부로부터 건국훈장 애국장을 추서받았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