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9200691 |
---|---|
한자 | 金龍中 |
영어공식명칭 | Yong Jeung Kim |
분야 | 역사/근현대,성씨·인물/근현대 인물 |
유형 | 인물/의병·독립운동가 |
지역 | 충청남도 금산군 |
시대 | 근대/일제 강점기 |
집필자 | 김윤희 |
출생 시기/일시 | 1898년 3월 2일![]() |
---|---|
활동 시기/일시 | 1928년 - 김용중, 송철과 케이 앤드 에스 자버(K & S Jobber) 설립 |
활동 시기/일시 | 1939년 - 김용중 대한인국민회 중앙집행위원회 중앙상무위원 겸 선전부장 역임 |
활동 시기/일시 | 1943년 - 김용중 한국사정사 설립 |
몰년 시기/일시 | 1975년 9월 6일![]() |
추모 시기/일시 | 2000년![]() |
출생지 |
충청남도 금산군 금산읍 중도리 347
![]() |
묘소 | 국립대전현충원 - 대전광역시 유성구 현충원로 251[갑동 3] |
성격 | 독립운동가 |
성별 | 남 |
대표 경력 | 한국사정사 사장 |
[정의]
일제 강점기 충청남도 금산 출신 독립운동가.
[가계]
김용중(金龍中)[1898~1975]의 본관은 김해(金海)이고, 지금의 충청남도 금산군 금산읍 중도리에서 태어났다. 아버지는 김일택(金逸澤)이고, 어머니는 박순화(朴順和)이다. 2남 1녀 중 맏아들로 태어났다. 17세에 처음 결혼하였고, 미국으로 이주한 뒤 김형순(金衡珣)의 맏딸 김영옥[영문명 Mary Ann Kim]과 1934년 다시 결혼하였다.
[활동 사항]
김용중은 1916년 상하이에서 여운형(呂運亨)[1886~1947]을 만난 인연으로 미국 고등학교로 유학을 갔다. 하버드, 콜럼비아, 조지 워싱턴, 남가주 대학 등에서 수학하였고, 1928년에는 송철(宋哲)과 함께 케이 앤드 에스 자버(K & S Jobber)를 설립하여 로스앤젤레스 시장에서 과일과 채소 위탁 판매업을 하였다. 이때부터 캘리포니아주에서 동종 업종에서 성공한 김형순(金衡珣)·김호(金乎)와 사업 동반자이자 독립운동 동지가 되었다.
1939년 1월 북미 대한인국민회 중앙집행위원회 중앙상무위원 겸 선전부장을 역임하며 독립운동에 투신하였다. 또한 12월에는 한인 청년 2세를 돕고자 내지한재구제회(內地旱災救濟會)를 결성하기도 하였으며, 『신한민보』 영문란의 주필로도 활동하였다. 1941년 재미한족연합위원회 집행부위원 겸 선전과장을 지냈다. 1941년 태평양전쟁 발발 이후 이승만(李承晩)[1875~1965]과 함께 한인자유대회를 준비하였다. 한인자유대회에서는 충칭 대한민국 임시정부를 미국이 승인할 것을 내용으로 하는 결의문을 채택하였다. 1943년 한국사정사(Korean Affairs Institute)를 설립하고 『한국의 소리(The Voice of Korea)』라는 영문 잡지를 발간하여 미국 정부와 국민을 상대로 한국 독립의 필요성을 호소하였다.
[묘소]
김용중은 1975년 로스앤젤레스에서 사망하였다. 김용중의 유골 가루 절반은 38선 일대와 선산에 묻혔고, 다른 절반의 유해는 2000년 국립대전현충원 애국지사묘역에 묻혔다.
[상훈과 추모]
김용중은 2000년 정부로부터 건국훈장 애족장을 추서받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