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립운동가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200681
한자 獨立運動家
영어공식명칭 The Crusader for Independece
분야 역사/근현대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충청남도 금산군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
집필자 박범

[정의]

일제 강점기 충청남도 금산군 출신이거나 금산 지역에서 활동한 독립운동가.

[개설]

일제의 가혹한 압제와 수탈에 대항해 금산 지역에서는 많은 의사(義士)들이 의병활동, 3·1운동 및 다양한 형태의 항일운동을 전개하였다. 대표적인 독립운동가로 김용중, 송철, 임영신, 유진산 등이 있다.

[금산 지역의 독립운동가]

1909년 금산군수로 부임한 홍범식은 일본에 의해 강제 병합이 이루어지자 분을 참지 못하고 조종산에서 목매어 자결하였다. 1949년 지방 유림이 비를 세웠으며, 1962년 대한민국 건국공로훈장에 추서되었다. 2009년에는 금산군과 군민들의 정성으로 자결 장소에 홍군수 순절비를 세우고 정자를 지었다.

김용중은 1898년 3월 금산군 금산읍에서 태어났다. 1916년 상해로 건너갔다가 여운형의 도움으로 미국으로 가서 자수성가하였다. 1920년대 후반부터 1930년에 이르는 기간 동안 미주 지역의 항일운동에 자금을 지원하였고, 조국 독립을 홍보하기도 하였다. 해방 이전에는 한국을 알리고 독립을 역설하다가 해방 이후에는 민족자주성을 강조하고 민주주의를 주장하였다.

송철은 1896년 금산에서 태어났다. 부친은 동학농민군에 가담하였고, 자신은 전주의 신흥학교와 군산의 영명학교를 다녔다. 교편을 잡다가 1916년 상해를 경유하여 미국으로 건너갔다. 미국 대학에서 전기공학을 전공하였다. 1929년 이승만을 후원하기 위하여 북미대한인 동지회를 결성하였다. 송철은 이승만의 추종자로 이승만이 대통령직을 사임하고 하와이에 있을 때 자주 위로했다고 한다. 1972년 무궁화한국학교를 설립하여 2세 민족 교육에 앞장섰다. 이는 나중에 남가주 한국학원으로 발전하였다. 정부로부터 동백장을 받았고 1994년에는 건국훈장 애국장에 추서되었다.

임영신은 1899년 금산에서 태어났다. 교육활동에 참여하였으며 3·1운동에 헌신하여 옥고를 치르기도 하였다. 이승만의 측근으로 활동하였다. 금산의 심광학교를 나왔고, 전주의 기전여학교, 일본의 히로시마기독여자전문학교를 거쳐서 미국 남캘리포니아주립대학을 졸업하였다. 1932년 중앙보육학원을 설립하여 교장이 되었고, 조선여자기독교청년회연합회 총무를 지냈다. 1941년 7월에는 경성중앙유치원을 설립하였다. 광복 이후에는 대한여자국민당을 창당하기도 하였고, 1946년 2월에 설치된 남조선대한국민대표민주의원에서 의원을 지냈다. 1948년 초대 상공부 장관이 되었다. 이후 제헌의회의원, 민의원, 유엔총회 한국대표 등을 지냈다. 광복 이후 교육활동으로는 1945년 10월 중앙여자전문학교를 설립하였는데, 이후 중앙대학으로 개편하여 총장을 지냈다. 대한여자청년단 단장, 한국부인회 회장, 대한교육연합회 회장 등을 역임하였다. 언론활동으로는 상공일보사 사장과 여성계사 사장을 지냈다. 이러한 공로를 인정받아 문화훈장 대한민국장과 청조근정훈장을 받았다.

유진산은 금산군 출신으로 1905년에 태어났다. 어려서 임영신 등과 가까이 지냈다고 한다. 1919년 경성고등보통학교를 들어갔다가 자퇴하였고 보성중학교와 보통고등보통학교를 졸업하였다. 일본으로 건너가 와세다대학에 입학하였으나 독서회사건으로 투옥되어 중퇴하였다. 귀국하여 농민운동에 투신하였다. 조선총독부의 감시 대상이 되어 중국으로 망명하였다. 1933년 장시성에서 한인회를 조직하였고, 충칭의 임시정부 연락원으로 독립운동을 하던 중 일본영사관 관원에게 잡혀 옥고를 치르기도 하였다. 광복 이후 대한민주청년동맹을 만들었고 비밀 우익단체에서 활동을 시작하였다. 해방정국에서 비좌파와 우파적 성향의 노동운동단체와 청년단체에서 활약하였다. 미군정 아래에서 두 차례 투옥되었으며 제헌의원 총선에서는 낙선하였다. 무소속으로 제3대 민의원의원에 당선되었고, 1956년 대통령 선거에서 신익희의 선거참모가 되었다. 4·19 이후에는 장면 정권에 도전하여 신민당을 창당하였다. 5·16 군사정변이 일어나 마포형무소에 구금되었으나 1963년에는 민정당을 창당하여 6대 국회에 진출하였다. 1970년에는 신민당 총재에 당선되어 야당의 총수가 되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