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9200505 |
---|---|
한자 | 洪範植郡守 殉節碑 |
이칭/별칭 | 군수홍범식 순절비 |
분야 | 역사/근현대,문화유산/유형 유산 |
유형 | 유적/비 |
지역 | 충청남도 금산군 금산읍 상옥리 산46-1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김윤희 |
관련 인물 생년 시기/일시 | 1871년 7월 23일 - 홍범식 출생 |
---|---|
관련 인물 몰년 시기/일시 | 1910년 8월 29일 - 홍범식 사망 |
건립 시기/일시 | 1949년![]() |
이전 시기/일시 | 1976년 - 홍범식군수 순절비 충청남도 금산군 금산읍 중앙지에서 남산으로 이전 |
관련 사항 시기/일시 | 1993년 - 홍범식군수 순절지비 건립 |
이전 시기/일시 | 2008년 - 홍범식군수 순절비 남산에서 조종산 홍범식공원으로 이전 |
문화재 지정 일시 | 2008년 6월 17일![]() |
관련 사항 시기/일시 | 2021년 11월 19일 - 홍범식군수 순절비 문화재청고시 제2021-141호에 따라 지정 번호 삭제 |
현 소재지 | 홍범식공원 -
충청남도 금산군 금산읍 상옥리 산46-1
![]() |
원소재지 | 홍범식군수 순절비 -
충청남도 금산군 금산읍
![]() |
성격 | 순절비 |
관련 인물 | 홍범식(洪範植) |
재질 | 석재 |
[정의]
충청남도 금산군 금산읍 상옥리에 있는, 개항기 금산군수 홍범식을 기리기 위해 건립한 순절비.
[개설]
홍범식군수 순절비(洪範植郡守 殉節碑)는 국권 피탈로 자결한 유일한 현직 군수 홍범식(洪範植)[1871. 7. 23.~1910. 8. 29.]을 널리 알리기 위해 금산군 지역의 유림에서 세운 비이다. 홍범식은 충청북도 괴산군 출신으로 1902년(고종 39)에 내부주사와 혜민서참서를 지냈고, 1907년(순종 1) 태인군수에 이어 1909년(순종 3) 금산군수로 부임하였다. 국권 피탈 당시 홍범식은 울분을 참지 못하고 조정산에 올라 북향 사배하고 목을 매어 자결하였다.
[건립 경위]
홍범식군수 순절비는 홍범식의 절개를 기리기 위해 1949년에 건립하였다. 금산군 지역 유림에서 발의하였고, 금산군 출신 희곡 작가 임희재가 비문을 지었다. 처음에는 금산군 금산읍 중앙지에 건립하였는데 1976년에 남산으로 옮겼다. 1993년 금산군에서 홍범식이 자결한 장소인 조종산 입구에 홍범식군수 순절지비를 세웠다가, 도로가 나면서 이전을 해야 하는 상황이 발생하였다. 이후 금산군이 홍범식의 선양 사업을 위해 조정산 부근 금산군 금산읍 상옥리 일대에 홍범식공원을 조성하였고, 2008년에 순절지비와 함께 순절비를 옮겼다.
[위치]
홍범식군수 순절비는 금산군 금산읍 상옥리 산46-1번지 홍범식공원에 있다.
[형태]
비석과 비수가 있다.
[금석문]
비석 앞면에는 ‘군수홍공범식순절비(郡守洪公範植殉節碑)’라고 써 있고, 좌면·우면과 뒷면에는 국한문 혼용으로 홍범식의 절개를 그린 내용이 새겨 있다. 비문의 내용은 금산군 출신의 희곡 작가 임희재가 1949년 10월에 지었다.
[현황]
홍범식군수 순절비는 2008년 6월 17일에 금산군 향토유적 제11호로 지정되었다. 이후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청고시 제2021-141호 「문화재 지정[등록]번호 삭제 및 문화재명 표기 방식 변경 고시」에 따라 지정 번호가 삭제되었다. 금산향교(錦山鄕校)에서는 홍범식의 절개를 기리기 위해 매년 홍범식군수 순절비 일원에서 추모 제향을 봉행하고 있다.
[의의와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