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9200162 |
---|---|
한자 | 錦山綜合- |
영어공식명칭 | Geumsan Bus Terminal |
이칭/별칭 | 금산종합버스터미널,금산시외고속버스터미널 |
분야 | 지리/인문 지리 |
유형 | 지명/시설 |
지역 | 충청남도 금산군 금산읍 후곤천길 77[상리 34-10]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김대은 |
개관|개장 시기/일시 | 1967년 6월![]() |
---|---|
관련 사항 시기/일시 | 1978년 9월 15일 - 금산시외버스터미널 건물 완공 |
현 소재지 | 금산종합터미널 -
충청남도 금산군 금산읍 후곤천길 77[상리 34-10]![]() |
성격 | 버스터미널 |
전화 | 041-754-4854 |
[정의]
충청남도 금산군 금산읍 상리에 있는 고속·시외버스 터미널.
[건립 경위]
금산군에서 타 지역으로 이동하는 주민들과 금산군을 방문하는 관광객들을 위하여 금산종합터미널을 만들었다.
[변천]
1960년대에는 합동버스주차장과 전북여객정류소가 존재하였으며, 금산-대전, 금산-무주 등 노선을 갖추고 있었다. 대전 지역과의 교통량이 증가하면서 후곤천 이북 지역에 시외버스정류장을 이전하였다. 1967년 6월 금산종합터미널을 개관하였다. 1978년 9월 15일 2층 규모의 현 건물을 완공하였다.
[구성]
금산종합터미널은 지상 2층 구조의 건물로, 1층에는 매표소와 매점, 간이 대합실[휴게실], 화장실 등 편의 시설과 핸드폰, 속옷 매장, 안경점, 공인 중개사 사무소, 식당 등 상점이 입점하고 있다. 2층은 터미널 사무실과 건축사 사무소 겸 도의원 사무실, 다방 등이 있다. 승강장에는 총 8개의 승차 홈이 있다.
[현황]
2023년 6월 기준 금산종합터미널 노선은 서울특별시 강남과 대전광역시, 전북특별자치도의 무주군, 전주시 노선이 있다. 서울-금산 노선은 금호고속과 삼화고속에서 운영하며 1일 4회 운행한다. 첫차는 오전 6시 30분 일반이며, 막차는 오후 5시 일반이다. 금산-대전 노선은 중부고속에서 운영하며 새말, 마전, 대전 부사동, 신흥동을 경유한다. 현재 35번의 배차를 두고 있다. 금산-전주 노선은 진안을 경유하며 총 두 가지 노선으로 운행한다. 두 노선 모두 전북여객에서 운영한다. 첫 번째는 송풍리, 안천, 진안을 경유하는 노선으로 1일 1회 운행한다. 두 번째는 용덕리, 주천, 운일암, 정천, 진안을 경유하는 노선으로 1일 2회 운행한다. 금산-무주 노선은 전북여객에서 운영하며, 부리와 가당을 경유하며 1일 1회 운행한다. 과거 서대전, 수원 노선이 있었으나 수요 부족으로 2018년 2월 20일 폐지되었다. 금산-군산 노선은 안전여객시외버스가 전북고속에 인수되고 적자 노선이라 하여 2018년 7월 1일 폐지되었다. 금산-계룡-인천공항 노선은 수요 부족에 코로나19 팬데믹이 겹치면서 중단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