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9200024 |
---|---|
한자 | 土壤 |
영어공식명칭 | Soil |
이칭/별칭 | 흙 |
분야 | 지리/자연 지리 |
유형 |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
지역 | 충청남도 금산군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최원회 |
[정의]
충청남도 금산군 지역에서 육상의 지각을 덮고 있는 기반암 풍화 물질에 생물체의 유기물이 혼합되어 이루어진 물질.
[개설]
금산군 지역 토양의 모암을 형성하는 암석은 옥천계 수성암층과 화강암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금산군은 끊임없는 침식 작용을 받아 정적토가 많다. 더욱이 금산군의 밭은 경사도가 전국에서 가장 급하고 인삼 경작 때문에 척박하여 그 색깔은 백색에 가까운 강한 산성의 정적토들이다. 그러므로 예부터 금산군에서 곡물보다는 특수 작물인 인삼·생약초 등을 많이 재배하게 된 것은 토양에서 오는 부득이한 결과였다.
[금산군 지역 토양의 지형별 특성]
금산군 지역의 토양 특성은 지형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금산군 지역의 토양을 지형별로 분류하면, 산악지 토양, 저구릉지 및 구릉지 토양, 선상지(扇狀地) 및 곡간 충적지 토양, 산록 경사지 토양, 하성 충적 평탄지 토양, 내륙 평탄지 토양, 홍적 대지 토양 등 7가지로 분류할 수 있는데, 이에 관하여 개관하면 다음과 같다.
1) 산악지 토양은 험준하고 해발 고도가 높으며 경사가 급한 지형에 분포한다. 금산군의 주변 산지를 둘러싸고 있는 대부분의 산지들이 산악지에 포함된다. 산악지 토양은 금산군의 전체 면적 중 46.6%[262.04㎢]로 가장 넓은 면적을 차지하고 있고, 복수면·진산면·남이면 등의 군 서부 지역과 군북면·제원면·부리면 등의 군 경계 지역에 주로 분포하며, 괴산통, 송산통, 대산통, 덕산통, 무등통, 삼각통, 청산통 등이 대표적이다.
2) 저구릉지 및 구릉지 토양은 금산군 지역에서 해발 300m 이하이고 경사도(傾斜度) 30% 미만인 지역에 분포한다. 이들 저구릉지 및 구릉지에 분포하고 있는 토양은 각 암석의 풍화 잔적물을 모재(母材)로 하여 생성된 토양이며, 산지 개발에 큰 비중을 차지한다. 저구릉지 및 구릉지 토양은 금산군의 전체 면적 중 27.3%[153.44㎢]를 차지하여 두 번째로 넓고, 군의 군북면·제원면·부리면 등의 동부 지역과 금산읍·금성면 등의 중심부 지역에 주로 분포하며, 예산통, 오산통 등이 대표적이다.
3) 선상지 및 곡간 충적지 토양은 금산군의 수많은 저구릉·구릉 및 산악지 사이에 발달되어 있다. 이들 사이에는 하천이 흐르고 있으며, 하구(河口)에는 부채꼴 모양의 선상지가 발달해 있다. 선상지 및 곡간 충적지 토양은 금산군의 전체 면적 중17.3%[97.2㎢]를 차지하여 세 번째로 넓고, 군의 동부 지역과 금산읍·금성면 등의 저구릉지와 구릉지 사이에 주로 분포하며, 안룡통, 사촌통, 상주통, 지곡통, 월곡통, 남곡통 등이 대표적으로 나타난다.
4) 금산군은 지형이 매우 복잡할 뿐만 아니라 수많은 구릉지와 산악지가 많이 분포한다. 이들 구릉지 및 산악지 하부에는 중력에 의하여 붕적(崩積)·퇴적(堆積)된 토양이 경사도 30% 이하의 산록지에 많은 양은 아니지만 분포하고 있는데, 이것을 산록 경사지 토양이라고 한다. 산록 경사지 토양은 금산군의 전체 면적 중 4.3%[24.03㎢]를 차지하고 있고, 주로 구릉지와 산악지 사이에 소규모로 분포하며, 수암통, 제천통 등이 대표적으로 나타난다.
5) 하성 충적 평탄지는 소하천 변이나 큰 강변을 따라 경사도 2% 미만으로 완만하게 전개된 평탄지를 말한다. 하성 충적 평탄지 토양은 농업적으로 큰 비중을 차지하지만 금산군의 경우 하천의 발달이 미약하여 그 면적은 크지 않아서 군의 전체 면적 중 2.7%[15.06㎢]를 차지하고 있고, 봉황천(鳳凰川) 유역인 남일면, 금산읍 일부와 금강(錦江)이 감입 곡류하는 제원면 등의 하천 주변에 분포하며, 가천통, 고천통 등이 대표적으로 나타난다.
6) 내륙평탄지 토양은 충적토가 부분적으로 포함된 황갈색토 내지 회색토이며, 하성 충적 평탄지에 분포되어 있고, 토양 배수는 약간 불량하다. 토성(土性)은 사질 토양 또는 양토로서 자갈이 섞여 있다. 심도(深度)는 일반적으로 1m 이상이고, 비옥도(肥沃度)는 보통 내지 약간 높은 편이며, 약한 산성이나 중성을 나타낸다. 내륙 평탄지 토양은 금산군의 전체 면적 중 1.7%[9.72㎢]를 차지하고 있고, 금성면·금산읍·제원면·부리면 등의 주요 하천 주변에 분포하며, 석천통 등이 대표적으로 나타난다.
7) 홍적 대지 토양은 하성 충적 평탄지보다 비교적 높은 대지에 적색·황갈색 또는 황갈색을 띠는 세립질 적황색 토양들로 분포되어 있다. 본래 홍적 대지 토양은 신생대(新生代) 제4기 전반에 속하는 홍적세(洪積世)의 홍수에 의해 운반·퇴적된 토양이다. 홍적 대지 토양은 금산군의 토양 중 가장 낮은 비율을 차지하여 전체 면적 중 0.2%[1.19㎢]를 차지하고 있고, 금성면 도곡리 일대에만 분포하며, 화동통 등이 대표적으로 나타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