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9201305 |
---|---|
한자 | 三南製藥 |
영어공식명칭 | Samnam Pharm |
분야 | 정치·경제·사회/경제·산업 |
유형 | 기관 단체/기관 단체(일반) |
지역 | 충청남도 금산군 금산읍 인삼로 77[상리 99-1]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김보미 |
설립 시기/일시 | 1951년 5월![]() |
---|---|
이전 시기/일시 | 1973년 7월 - 삼남화학연구소 제조 공장 충청남도 금산군 금산읍 중도리 501-3에서 충청남도 금산군 금산읍 상리 99-1로 이전 |
관련 사항 시기/일시 | 1976년 4월 - 삼남화학연구소 보건사회부장관 표창 수상 |
관련 사항 시기/일시 | 1982년 3월 - 삼남화학연구소 국세청장 표창 수상 |
관련 사항 시기/일시 | 1991년 3월 - 삼남화학연구소 재무부장관 표창 수상 |
관련 사항 시기/일시 | 1993년 5월![]() |
개칭 시기/일시 | 1993년 10월![]() |
관련 사항 시기/일시 | 2000년 1월 - 삼남제약 삼남회관 신축 |
관련 사항 시기/일시 | 2002년 8월![]() |
관련 사항 시기/일시 | 2004년 3월 - 삼남제약 재정경제부장관 표창 수상 |
관련 사항 시기/일시 | 2007년 3월 - 삼남제약 『약업신문』 제45회 동암 약의상 제약 부문 수상 |
관련 사항 시기/일시 | 2007년 10월 - 삼남제약 경영 혁신형 중소기업 선정 |
관련 사항 시기/일시 | 2010년 3월 - 삼남제약 대전세무서장 표창 수상 |
관련 사항 시기/일시 | 2016년 10월 - 삼남제약 충청남도 장수 대상 수상 |
최초 설립지 | 삼남화학연구소 -
충청남도 금산군 금산읍 비선길 31[중도리 501-3]![]() |
현 소재지 | 삼남제약 -
충청남도 금산군 금산읍 인삼로 77[상리 99-1]![]() |
성격 | 제약업체 |
설립자 | 김순기 |
전화 | 041-754-3771 |
홈페이지 | 삼남제약(http://www.samnam51.com) |
[정의]
충청남도 금산군 금산읍 상리에 있는 제약 회사.
[개설]
김순기가 동경약학전문학교를 졸업한 후 고향인 금산군에 세운 기업이다. 제품을 직접 생산하고 있으며 제조 기술 노하우 및 제품 개발력이 타사와 구별된다.
[설립 목적]
창업주인 김순기 회장이 일본 제약 회사 산쿄[三共] 개발부에서 익힌 경험을 바탕으로 6·25전쟁의 혼란스러운 와중에 창업하였다. 보건복지부에 원료 의약품 생산 1호 업체로 등록되어 있다.
[변천]
삼남제약은 1951년 5월 삼남화학연구소로 시작하였다. 1955년 9월 ‘게루삼’으로 국내 최초로 의약품 제조업소로 허가를 받았다. 게루삼은 국내 최초로 국산 원료 의약품으로 만든 위장약이다. 1973년 7월 제조 공장을 신축하여 충청남도 금산군 금산읍 중도리 501-3번지에서 상리 99-1번지로 이전하였다. 1993년 10월 법인으로 전환하였고, 이때 자본금은 25억 5000만 원이며 상호를 삼남화학연구소에서 삼남제약으로 변경하였다. 2000년 1월 삼남회관을 신축하였다.
1976년 4월 보건 사업에 기여한 공을 인정받아 보건사회부장관 표창을 받았다. 1982년 3월 성실 납세자로 국세청장 표창을 받았다. 1991년 3월 성실 납세자로 재무부장관 표창을 받았다. 1993년 5월 중소기업 육성을 통한 국가 산업 발전에 기여한 공을 인정받아 대통령 표창을 받았다. 2002년 8월 중소기업 기술 혁신 산업 발전에 이바지한 공을 인정받아 대통령 산업 포장을 받았다. 2004년 3월 성실 납세자로 재정경제부장관 표창을 받았다. 2007년 3월 약업계 발전과 국민 보건 향상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아 『약업신문』 제45회 동암 약의상 제약 부문을 받았다. 2007년 10월 경영 혁신형 중소기업으로 선정되었다. 2010년 3월 성실 납세자로 대전세무서장 표창을 받았다. 2016년 10월 충청남도 장수 대상을 받았다.
[주요 사업과 업무(활동 사항)]
일반 의약품과 전문 의약품을 취급한다. 일반 의약품은 정장제, 제산제, 칼슘제, 항히스타민제, 해열제·진통제·소염제, 호흡기계용 약, 치과 구강용 약이 있다. 전문 의약품은 골격근 이완제, 골다공증 치료제, 당뇨병용제, 동맥 경화용제, 부신 피질 호르몬제, 소화 기관용 약, 소화성 궤양용제, 위장관 운동 활성화제, 편두통 치료제, 항생제, 혈관 확장제, 혈압 강하제, 호흡기계용 약을 취급한다. 일반 의약품보다 전문 의약품을 더 많이 취급하며, 대중적으로는 마그밀이 유명하다.
[현황]
2023년 현재 직원 수는 총 90명이며 제조 허가된 의약품 수는 89품목이다. 대표는 김호택으로 삼남제약이 성장할 수 있도록 다각적인 연구와 노력을 하고 있다. 기업 경영에서 얻은 이익금을 반드시 사회에 환원한다는 뚜렷한 목표가 있어 코로나19 상황에도 1억 원 이상을 기부하여 아너 소사이어티(Honor Society)에 가입하였다.
[의의와 평가]
삼남제약은 최초의 금산 향토 기업이며, 70여 년의 역사를 가지고 있다. 원료 의약품 생산 1호 업체일 뿐만 아니라 ESG 활동과 더불어 매출도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