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동의 행상바위」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201236
한자 龍洞- 行喪-
영어공식명칭 Haengsang Rock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유형 작품/설화
지역 충청남도 금산군 남이면 하금리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이강혁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수록|간행 시기/일시 1992년 - 「용동의 행상바위」 『여기가 금산이다』에 수록
관련 지명 행상바위 - 충청남도 금산군 남이면 하금리 지도보기
성격 설화
주요 등장 인물 박가|최가|을녀|용
모티프 유형 하늘의 도움|용|동병상련

[정의]

충청남도 금산군 남이면 하금리에서 용동행상바위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개설]

행상바위의 ‘행상(行喪)’은 죽은 사람을 묘지로 이끄는 상여를 뜻하는데, 한 여인이 자신과 백년가약을 맺은 사내의 죽음을 영원히 기리는 전설이 전해지고 있다. 충청남도 금산군 남이면 하금리 용동행상바위는 위쪽은 검은색이고 가운데는 붉은색이며 아랫동아리는 푸른 이끼로 감싸여 있다.

[채록/수집 상황]

「용동의 행상바위」는 1992년 충청남도향토문화연구소에서 발행한 최문휘의 『여기가 금산이다』 ‘하금리’면에 수록되어 있다. 그러나 자세한 채록 시기와 장소는 확인하기 어렵다. 『여기가 금산이다』는 설화 내용에 저자의 주관적 윤색이 가미된 것으로 보인다.

[내용]

신라 때부터 충청남도 금산군 남이면 하금리 용동에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이다. 강가에 위치한 두메에 기운이 장사인 박가와 허약하지만 글공부를 열심히 하는 최가라는 사내가 살았으며 또한 같은 마을에 을녀라는 처녀가 살고 있었다. 박가와 최가는 둘 다 을녀를 사랑하고 있었는데, 당나라 군대와 싸우기 위해 전장에 참여하여 공훈을 세운 박가에게 을녀는 마음이 기울고 있었다. 이후 공부를 열심히 한 최가는 큰 벼슬자리를 얻게 되고 충청도 대둔산 근처 고을 원님이 되어 마을을 떠나게 되었고 을녀는 뒤숭숭한 마음에 최가가 마을을 떠나기 전날, 최가의 집 앞에서 서성이고 있었다. 이때 최가는 집 앞에서 서성이던 을녀를 만나게 되고 자신의 마음을 고백하여 서로 백년가약을 약속하게 되었다.

다음 날 최가가 마을을 떠나고 박가가 전장에서 마을로 돌아와 을녀의 집에 와서 을녀의 부모에게 결혼을 졸랐으나 을녀의 부모는 이미 최가와 백년가약을 맺은 사실을 박가에게 전하였다. 박가는 최가와 을녀의 사이를 알게 되었고 그 길로 최가를 찾아가 살해하였다. 마을에 최가의 시신이 도착하고 을녀는 박가가 최가를 죽인 사실을 알게 되어 박가를 유인하여 죽였다. 이후 을녀는 사랑했던 최가의 부임지였던 충청도 대둔산 근처의 바위 아래 뗏집을 짓고 살았다. 을녀가 박가를 죽인 범인임을 알게 된 신라 조정에서는 을녀를 전쟁에서 공훈을 세운 무인을 죽인 살인자라고 하며 을녀를 찾기 시작하였다.

이후 삼 년 만에 조정에서 을녀가 숨어 살고 있는 장소를 찾아내어 군사를 보내었다. 조정의 군사들은 을녀가 살고 있는 뗏집 앞에 위치한 강가까지 몰려와 을녀에게 포승을 받으라 고함을 쳤다. 이때 하늘에 먹구름이 끼더니 먹구름 속에서 하얀 물줄기가 강물로 내려오면서 강물이 요동치기 시작하였다. 조정의 군사들은 물줄기를 피해 바위 틈으로 내려갔는데, 강물 속에서 용 한 마리가 솟아 나와 꼬리로 바위를 치는 바람에 바위는 갈라지고 조정의 병사들은 모두 그 자리에서 죽고 말았다. 다행히 을녀는 살아남아 충청도 대둔산을 떠나 중이 되었다고 하는데 일 년에 한 번씩 최가가 죽은 날 자신이 살았던 바위에 나타나 추모하는 제사를 지냈으며 강물에 용왕제도 지냈다 한다. 이후 비가 오는 날에는 바위에서 상여가 지나가는 소리와 함께 아직 승천하지 못한 용의 울음소리가 들리기도 하며 여승이 된 을녀가 불공을 드리는 모습도 보인다고 한다. 이에 사람들은 을녀가 살던 바위를 ‘행상바위’라 부르고 을녀와 용의 한이 숨어 있는 장소라고 생각하였다.

[모티프 분석]

「용동의 행상바위」의 주요 모티프는 ’하늘의 도움’, ‘용’, ‘동병상련(同病相憐)’9이다. 하늘이 부당한 처지에 놓인 대상을 조력하는 모티프가 을녀를 도와주는 용으로 구현되었다. 또한 사랑하는 사람과 가약을 맺지 못한 여인과 승천하지 못한 용이 함께 나타난다는 내용에서 서로 같은 처지에 놓여 위로하는 동병상련의 상황을 분석할 수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