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9200981 |
---|---|
한자 | 忠淸南道錦山敎育支援廳 |
영어공식명칭 | Chungcheongnamdo Geumsan Office Of Education |
이칭/별칭 | 금산교육지원청 |
분야 | 문화·교육/교육 |
유형 | 기관 단체/기관 단체(일반) |
지역 | 충청남도 금산군 금산읍 인삼로 14[아인리 64-3]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이동현 |
관련 사항 시기/일시 | 1949년 12월 31일 - 군 단위 교육 자치제 실시 |
---|---|
관련 사항 시기/일시 | 1957년 12월 25일 - 금산교육청 청사 신축 |
설립 시기/일시 | 1964년 1월 1일![]() |
이전 시기/일시 | 1989년 9월 5일 - 금산교육청 충청남도 금산군 금산읍 아인리 64-3으로 이전 |
개칭 시기/일시 | 2010년 9월 1일![]() |
관련 사항 시기/일시 | 2022년 4월 1일 - 충청남도금산교육지원청 금산교육지원센터 개관 |
주소 변경 이력 | 금산교육청 - 충청남도 금산군 금산읍 인삼로 14[아인리 64-3] |
현 소재지 | 충청남도금산교육지원청 -
충청남도 금산군 금산읍 인삼로 14[아인리 64-3]![]() |
성격 | 교육 행정 기관 |
전화 | 041-750-8877 |
홈페이지 | 충청남도금산교육지원청(https://www.cngse.go.kr) |
[정의]
충청남도 금산군 금산읍 아인리에 있는 금산군 관할 교육 행정 기관.
[개설]
충청남도금산교육지원청은 충청남도교육청 소속 기관으로, 금산군의 학교 교육 활동 및 교육 행정 전반을 지원하고 총괄하는 금산군 관할 교육 행정 기관이다.
[설립 목적]
충청남도금산교육지원청은 금산군의 인문·사회·교육·과학·기술·체육 및 기타 학예에 관한 사무 지원을 통해 지역 교육 발전에 기여하기 위하여 설립하였다.
[변천]
1949년 12월 31일 「교육법」 제정[법률 제86호]으로 군(郡) 단위 교육 자치제를 실시하게 되면서 설립되었다. 1952년 6월 4일에 초대 교육위원회 구성 및 군 단위 교육 자치제 실시로 군에서 분리하여 교육감 밑에 학무과와 서무과를 두게 되었다. 같은 해 8월 8일 제1대 박용전 교육장이 취임하였으며, 1954년 6월 4일에 제2대 군교육위원회가 구성되었고, 1957년 12월 25일 교육청사를 신축하였다. 1962년 1월 6일 「교육법」 개정[법률 제955호]으로 교육 자치제가 폐지되어 같은 해 2월 1일 일반 행정 기구로 편입, 군수 산하에 교육과를 설치하였다. 1963년 1월 1일에는 행정 구역 개편[법률 제1172호]으로 전라북도 소속에서 충청남도 소속으로 변경되었다.
1964년 1월 1일자로 교육 자치제가 부활[법률 제1435호]하여 금산교육청 발족과 함께 군 교육장 밑에 학무과와 관리과를 두게 되었다. 같은 해 3월 27일 제4대 문제천 교육장이 취임하였으며, 1969년 11월 15일 교육 청사를 2층 벽돌조 슬래브 555.37㎡[168평]로 개축하였다. 1973년 2월 22일에는 금산교육청에서 중학교를 관할하게 되었으며, 법률 제2544호에 의거하여 도교육위원회(道敎育委員會)에서 교육청(敎育廳)으로 변경되었다. 1980년 9월 1일에 제10대 민병선 교육장이 취임하였고, 1987년 8월 3일부터 ‘금산군 장한 스승상제’를 운영하기 시작하였다. 1989년 9월 5일 금산군 금산읍 아인리 64-3번지로 청사를 신축하여 이전하였다. 1991년 3월 26일 도 단위 교육 자치제를 실시하기 시작하였으며, 2010년 9월 1일에 충청남도금산교육지원청으로 명칭을 변경하였다. 2022년 4월 1일에 금산교육지원센터를 개관하였다.
[주요 사업과 업무(활동 사항)]
충청남도금산교육지원청은 금산군의 교육 활동에 관한 사무를 지원하며, ‘꿈, 열정, 사랑이 있는 행복 금산 교육’ 실현으로 학생 중심의 행복 교육을 지향하고 있다. 더불어 수업 혁신과 학교 문화 혁신으로 온 마을이 함께하는 ‘한 울타리 비단뫼 마을 교육’을 추구하고 있다. 주요 업무는 교육과와 행정과 업무로 나뉜다.
교육과는 초중등교육팀·교육혁신팀·유아특수교육팀·체육인성검강팀으로 이루어져 있다. 초중등교육팀은 초·중등 교육 과정[교무, 학사 운영 등]과 주요 업무 계획 수립 및 의회 관련 지원, 학적 및 학교 생활 기록부, 초등·중등 인사 업무, 교원 능력 개발 평가, 장학, 교[원]장·교[원]감 회의, 과학, 영재 교육, 인공 지능[AI] 교육, 창의 인성 융합 교육, 고교 학점제 운영 지원, 교과별 심화 과정 개설 운영 등 다양한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교육혁신팀은 학교 혁신, 전문적 학습 공동체[교과 협의회], 진로 교육[직업 교육], 진학 교육[고입·대입], 미래 교육 2030 관련 업무, 예술[중등 대회, 예술 발표회, 밝은 노래 부르기 등] 교육 관련 업무, 그리고 다문화 교육과 국제 교육 관련 업무, 행복 교육 지구 업무, 초등 기초 학력[학습 종합 클리닉, 두드림 학교]과 작은 학교 특색 교육 과정 운영, 중등 기초 학력[두드림 학교] 등 다양한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유아특수교육팀은 유치원 교육 과정과 유아 교육 지원 센터, 인사[유치원 교사, 특수 교사], 독서, 논술 및 인문학[연극·뮤지컬 발표회] 교육, 방과 후 학교, 돌봄 교실 총괄, 사교육비 경감·절감, 학부모 교육 지원 사업, 특수 교육 대상자 순회 교육 운영, 그리고 특수 교육 통계 조사 및 특수 교육 현황 조사, 특수 교육 방과 후 학교 사업 운영, 특수 교육 정보 관련 사업 운영[홈페이지, 스마트 사업, 정보화 경진 등] 등 다양한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체육인성건강팀은 학교 폭력 예방[학교폭력대책심의위원회 포함]과 인성[생활] 교육[성폭력 사안·성 인지], 안전 교육, 경제·환경 교육, 청소년 단체 교육, 현장 체험 학습[수학·수련 활동] 관리 및 봉사 활동과 학교 급식 영양 관리, 식생활 지도, 무상 급식과 친환경 급식 관리, 학교 급식 위생·안전 점검 및 평가와 위(Wee) 센터 운영 총괄, 학교 감염병 예방 관리, 학생 건강 검사, 학생 건강 증진 업무, 교사 내 공기 질 관리 등 환경 위생 관리, 학교 석면 안전 관리 및 위해성 평가 관리, 학교 먹는 물 위생 관리, 교육환경보호위원회 운영, 보호 구역 관리, 학교 양성평등 및 흡연 예방 교육, 약물 오남용 예방 등 다양한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행정과는 총무팀·행정팀·경리팀·시설팀으로 이루어져 있다. 총무팀은 지방 공무원 관련 업무와 정보 보안 및 개인 정보 보호에 관한 사항, 교육 행정·재정 정보 시스템 권한에 관한 사항, 교육 공무원직 관련 업무, 청렴 업무 등 다양한 업무를 맡고 있다. 행정팀은 교육비 특별 회계 관련 업무와 교과용 도서 수급에 관한 사항, 중학교 무시험 진학에 관한 사항, 교육 통계에 관한 업무, 학원·교습소 및 개인 과외 교습자 관리, 비영리 법인[공익 법인 포함]에 관한 사항, 평생 교육 진흥에 관한 사항[도서관 포함], 검정고시에 관한 사항, 에듀파인[학교 회계] 및 학교 회계 등의 업무를 맡고 있다. 경리팀은 교육비 특별 회계 일반 지출에 관한 사항, 일반 물품 구입, 물품 수급에 관한 사항, 재난 안전 및 재난 대응 안전 한국 훈련 업무 등 다양한 업무를 맡고 있다. 시설팀은 시설팀 업무의 종합 계획 수립 및 공사 집행에 관한 사항, 학교 시설 관리 및 안전 점검, 그린스마트미래학교에 관한 사항 등의 업무를 맡고 있다.
[현황]
2023년 현재 충청남도금산교육지원청은 교육장 아래 2과[교육과·행정과]와 충청남도금산교육지원청 금산도서관으로 운영되고 있다. 교육과는 초중등교육팀·교육혁신팀·유아특수교육팀·체육인성검강팀으로 이루어져 있고, 행정과는 총무팀·행정팀·경리팀·시설팀으로 나누어져 있다. 관내 학교로는 유치원 15개소와 초등학교 17개소, 중학교 8개소, 고등학교 4개소가 있으며, 충청남도금산교육지원청 금산도서관과 학생 수영장을 관할하고 있다.
[의의와 평가]
충청남도금산교육지원청이 수업 혁신, 학교 문화 혁신 차원에서 추구하고 있는 온 마을이 함께하는 ‘한 울타리 비단뫼 마을 교육’이 주목된다. ‘한 울타리 비단뫼 마을 교육’ 사업은 학교 교육이 마을 교육 공동체와 협력을 통하여 인성 교육과 전인 교육을 추구하는 것으로, 학교와 마을의 교육 공동체 문화 조성으로 교육의 본질을 실현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