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200948
한자 圓佛敎 秋富敎堂
영어공식명칭 Won Buddhism Chubu Chapel
분야 종교/신종교
유형 기관 단체/기관 단체(일반)
지역 충청남도 금산군 추부면 하마전1길 6[마전리 399-9]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이지송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설립 시기/일시 1989년 5월연표보기 - 원불교 추부교당 설립
현 소재지 원불교 추부교당 - 충청남도 금산군 추부면 하마전1길 6[마전리 399-9]지도보기
성격 종교시설
전화 041-751-2420

[정의]

충청남도 금산군 추부면에 있는 원불교 대전·충남 교구 소속의 교당.

[개설]

원불교는 1916년 소태산(少太山) 박중빈(朴重彬)[1891~1943]이 창시한 신종교이다. 우주의 근본원리인 일원상(一圓相)[즉 O의 모양]의 진리를 신앙의 대상과 수행의 표본으로 삼고, 진리적 신앙과 사실적 도덕의 훈련을 통하여 낙원 세계를 실현시키려는 이상을 내세우고 있다. 교조 박중빈은 5년간의 고행 뒤에 깨달음을 얻고 “만유(萬有)가 한 체성(體性)이며 만법(萬法)이 한 근원”이라는 말로 불생불멸(不生不滅)과 인과응보(因果應報)의 진리를 천명하였다. 이를 토대로 1916년에 정산(鼎山) 송규(宋奎)[일대 종법사] 등 9명을 제자로 하여 교단을 출범하였다. 원불교에서는 이 해를 원기 1년으로 삼고 있다.

[설립 목적]

교육 및 교화, 자선복지 등을 통해 지역사회의 건전한 사회 풍토 조성에 이바지하고자 설립하였다.

[변천]

금산군 부추면에 있는 원불교 추부교당은 1988년[원기 51년] 3월에 제원교당 교도 박원학·조심경 부부의 간절한 염원으로부터 시작되었다. 교장 사택에 법신불을 봉안하고 당시 제원교당의 이재경 교무와 이용진 교무가 출장 법회를 보아오다 1989년 9월 5일 초대 회장에 박원학 교도가 취임하면서 교당이 설립되었다.

2004년 제9대 이인성 교무가 부임하여 교당 재건축 기금 마련을 시작하였다. 남대전 교도 지산 이배원·윤수진 교도의 1억 2천만원 희사로 75평 건축허가를 득하고 금산교당 최원국·김여일 교도 1천만원 희사로 2009년 건축이 추진되어 건평 75평이 7월 13일 준공, 8월 3일 등기가 완료되었다. 2012년 교당 앞 마당이 소방도로로 나면서 일부 토지를 처분하고 현재 651㎡, 총 197평이 토지 대장에 등록되어있다.

[주요 사업과 업무(활동 사항)]

원불교의 주요 사업과 활동 으로는 교화사업, 교당 유지경영, 교역자 양성, 의료 구호, 유아 및 어린이 교육, 구호 자선 사업[노인·아동·청소년·장애인·재가·지역복지·여성복지] 등이 있다. 이에 따라 추부교당에서도 ‘북드림(Dream) 잔치’[한 사람이 3권씩 책을 골라 가져갈 수 있도록 법당에 책을 펼쳐둔다.]로 불리는 책 나눔 활동을 진행하고 있으며 법당의 책상과 의자를 바꾸고, 한 켠에 찻집 공간을 만드는 등 지역민들과의 소통에 힘쓰고 있다. 청소년 교화에도 힘을 쏟고 있는데, ‘청소년 교당 스테이’를 진행하여 청소년 마음 공부 및 명상 지도를 도왔다. 맞춤별 수업으로 여래봉 요가와 절 수행을 지도하고 있다.

[현황]

현재 18대 박성은 교무가 2021년 부임하여 마을 영성공동체를 도모하고 ‘마음 한잔’이라는 치유 다실을 오픈하여 마음 상담과 다양한 치유프로그램을 운영하며 종교의 울을 넘어 지역사회에 도움을 주는 역할을 진행하고 있다.

[참고문헌]
  • 『금산군지』 (금산군지편찬위원회, 1987)
  • 정규훈, 『한국의 신종교』(서광사, 2001)
  • 문체부 비영리법인 현황
  • 원불교 추부교당 제공 자료(2023. 7. 21.)
  • 원불교신문(http://www.wonnews.co.kr)
  • 원불교 중앙중앙총부(www.won.or.kr)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