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200711
한자 李應淑
분야 역사/근현대,성씨·인물/근현대 인물
유형 인물/의병·독립운동가
지역 충청남도 금산군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
집필자 김기성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879년 10월 2일연표보기 - 이응숙 출생
활동 시기/일시 1920년 7월 - 이응숙 독립운동 자금 모집
활동 시기/일시 1921년 3월 7일 - 이응숙 징역 5년 선고
몰년 시기/일시 1931년 11월 11일연표보기 - 이응숙 사망
추모 시기/일시 1996년연표보기 - 이응숙 건국훈장 애족장 추서
출생지 충청남도 금산군 진산면 두지리 380 지도보기
묘소 국립대전현충원 - 대전광역시 유성구 현충원로 251[갑동 3]
성격 독립운동가
성별

[정의]

일제 강점기 충청남도 금산 출신 독립운동가.

[활동 사항]

이응숙(李應淑)[1879~1931]은 1879년 10월 2일 지금의 충청남도 금산군 진산면 두지리에서 태어났다. 어린 시절의 행적에 대해서는 전해지는 바가 없다.

이응숙은 중국 상하이에서 대한민국임시정부가 세워졌다는 소식을 듣고 임철규(林喆圭), 이남규(李南奎)와 함께 임시정부 지원을 결의하였다. 1920년 6월 26일[음력] 이응숙은 임철규·윤철희(尹哲熙)와 두계시장에서 만나 임시정부에 독립운동 자금을 지원하기로 결정하고, 충청남도 논산시 벌곡면으로 통하는 고갯길 중턱에서 7월 5일[음력]에 만나기로 하였다. 이응숙 등은 1920년 7월 5일[음력] 권총으로 무장하고 금산군 금성면 화림리에 사는 오석영(吳碩泳)에게 가서 독립 자금으로 2,000원을 제공할 것을 요구하였다. 이응숙은 이 일로 일본 경찰에게 체포되어 1921년 3월 7일 경성복심법원에서 징역 5년을 선고받았다.

[묘소]

이응숙은 2000년 10월 18일 국립대전현충원 독립유공자 제2묘역에 안장되었다.

[상훈과 추모]

이응숙은 1996년 건국훈장 애족장을 추서받았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